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단어는 원래 배우고(학-學) 묻는다(문-問)는 글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지혜를 사랑하는 학문을 이른바 철학이라고 하며 동서양에서 각기 공자(BC 551~479)와 소크라테스(BC 469~399)를 시조로 꼽습니다. 두 사상가가 출현한 시기를 보면 동서양의 철학사상의 출발시기는 거의 비슷했으며, 사상가가 살던 배경은 전쟁이 심하던 시기였습니다.

지혜를 탐구하는 방법으로 동서양에서 공통으로 사용된 것은 질문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 는 산파술이라 하여 자신이 직접 상대방에게 질문을 통해 스스로 깨닫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공자나 맹자인 경우 제자나 왕이 궁금한 것이나 답을 찾지 못하는 문제에 대한 답을 나누면서 지혜를 구하도록 했습니다. 따라서 앎에 이르는 방법으로 질문이 매우 효과적인 것이라는 것입니다. 「중용」 책을 보면 공자는 순임금을 일컬어 크게 지혜로운 사람임을 밝히고 있으므로, 순임금을 통해 지혜에 다가가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은 또한 지혜로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순임금이 어떤 방식으로 지혜를 구했는지 방법을 보면 코칭적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왜냐하면 순임금은 첫째로 묻기를 즐겨 했습니다. 이것을 호문(好問)이라 합니다. 이러서 살피기를 즐겨했다고 합니다. 이른바 호찰(好察)입니다. 질문의 전제조건은 경청하겠다는 마음가짐이다. 따라서 호찰(好察) 이란 단어가 뒤따릅니다. 무엇을 살폈는가 하니 대수롭지 않은 말(이언, 邇言)조차 살폈다고 합니다. 그래서 순임금은 호문호찰이언(好察邇言)하는 사람이라 합니다.

예컨대 코칭 대화 도중 코칭고객이 한숨을 내쉰다면 이것조차 놓치지 않고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호문이나 호찰을 행동지침으로 이해해서는 곤란합니다. 고객의 존재를 존중한다면 호문호찰은 저절로 되는 것입니다. 이른바 본립도생(本立道生)입니다. 본(존재, 고객)이 서도록 도우면 길(코칭, 인식전환)이 납니다. 코칭을 하면서 코칭고객의 미세한 반응도 살피면 아래와 같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됩니다.

코치 : “지금 대답하기 전에 한 숨을 먼저 쉬셨는데 그건 어떤 의미인가요?”(코치의 호문 + 호찰이언)

코칭고객 : “아! 제가 그랬나요? 아마 이런 상황에서 제가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는 것 같아 그랬나 봐요”

코치 :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는 말은 지금, 해결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건 아니라는 말씀이시죠?

코칭고객 : “예”

코치 :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는 것은 지금 이 순간 그렇게 생각이 든다는 뜻인가요? 아니면 앞으로 영원히 그럴 것 같다고 생각하나요?”

코칭고객 : “영원히는 아니겠죠?”

코치 : “그렇다면 ‘언젠가 해결이 된다’ (대화 시 한 박자 쉬고) 는 말씀이겠네요?”

코칭고객 : “예”

코치 : “오늘이 그런 계기가 되면 어떨 것 같나요?

코칭고객 : “그러면 좋겠습니다.”

코치 : “그렇게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신은 어떤 존재입니까?”

코칭고객 : “내 문제는 어떻게 하든 해결해 내는 사람이라고 하고 싶네요”

코치 : 맞습니다, 목소리를 들으니 그럴 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성찰질문)

– 지금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질문은 어떤 질문일까요?

– 관찰을 즐겨하는 것은 삶에 어떤 유익을 가져다 줄까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커리어 코칭 모델

​ 커리어 코칭 모델은 주요 요소뿐 아니라 코칭 전개의 프로세스 와도 밀접한 연결성을 보여준다. 1. Love myself.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분석 2. Love

수업소감 39

말할 떄는 나의 표현을 보고, 들을 때는 선한 의도를 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선한 마음으로 선하게 바라보면 선함이 유지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말을

감정이 원하는 것

대부분 사람들은 걱정을 키우며 삽니다. “돈 없으면 어떻게 살지?” 하며 가난하면 살 수 없을 것같이 생각합니다. 애 낳기도 두려워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조건이 충족되어만 행복해진다 생각으로

수업소감 25

일단 기본적으로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들으면서 알게 되었던 말하기 방법 혹은 글쓰는 방법에 대해서 한 번 더 확실하게 정리를 해주는 강의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