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 중간에 그만두는데, 지금 너는 스스로의 한계를 긋고 있구나(역부족자力不足者 중도이페中道而廢, 금여획今女劃)”

금여획이란 “지금 당신이 금을 긋는다”, 라는 뜻입니다. 리더십 코칭을 하다 보면 금을 긋는 리더를 만나게 됩니다. 깨달음(인식전환)이 생기면 내적인 동기가 강화되어 행동이 뒤따르기가 보다 쉽습니다.

<사례> 직원의 능력 한계로 고민하는 리더

코칭고객 : 일을 시켜도 매번 반복적으로 실수를 하는데 답답하네요. 벌써 몇 번째 인지 모르겠어요.

코치 : 그러시군요. 실수가 반복되어 답답하시군요. 다른 업무를 시켜봐도 마찬가지라는 말씀 같이 들리네요?

코칭고객 : 그렇죠. 능력이 안되는 직원이에요.

코치 : 그렇다면 고민도 많이 되시고 때로는 화도 나시겠네요.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팀장님이 무얼 새롭게 해보실 건가요?

코칭고객 : 예? 저는 지금 거의 포기한 상태입니다.

코치 : 그 정도로 실망이 크신 거네요. 제가 하나 여쭤볼게요. 팀장님이 유능한 리더라는 소리를 듣는다면 그것은 유능한 팀원 덕분 아닌가요?

코칭고객 : 그렇죠. 팀원들이 성과를 내는 것이니까요.

코치 : 그렇다면 구성원이 무능하다면 팀장님도 무능하다는 소리를 듣게 되는 것 아닌가요?

코칭고객 : 아~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저도 무능한 리더라는 소리를 듣고 싶지 않은 건데, 제가 그 직원 탓만 하고 있었네요. 유능하게 만드는 것이 유능한 리더인데, 제가 한계를 느꼈나 봅니다.

코치 : 그 직원을 성장시키는 것은 팀장님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코칭고객 : 그렇죠. 의미가 있네요. 저의 리더십도 성장하는 계기가 되는 것이구요. 이 이슈에 대해 좀 더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집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

<미스 트롯 2>와 감동스토리

저는 대학 교양수업에서 자기 스토리, 그 중에서도 자기를 사랑할만한 스토리를 말하도록 기회를주고 있고, 대학원 철학수업에서도 이론 자체보다 학습주체자인 자기이야기를 더 많이 하도록 합니다. TV조선의 미스트롯2는

기분 좋게 주고 받는 피드백 코칭

흔히 피드백을 하다가 상처를 주고 받는 일이 생깁니다. 그런 일을 몇 차례 겪다 보면 피드백을 주고 싶은 사람은 망설이게 되고, 주변사람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의욕이

수업소감 3

이번 특강은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웠던 것의 연장선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특강 주제가 ‘마음을 얻는 말하기’인 만큼 특강의 모든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수업소감 14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모두 다 듣고 나니 이전 수업 내용 리뷰하는 느낌도 들어서 좋았습니다. 믿자명친! 이전에 수업들을 땐 뭐 저런걸 하나…. 저런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