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 현장에서 질문의 힘(1)

좋은 질문은 듣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사례가 왜 제게 의미가 있을까요?

저는 ‘설득하지 말고 질문으로 납득시켜라’, 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퍼온글]

이 글은 실화로 지하철에서 만난 황당한 아저씨 이야기입니다.

“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제가 이렇게 여러분 앞에 나선 이유는 가시는 길에 좋은 물건 하나 소개해 드리고자 이렇게 나섰습니다.

자, 플라스틱 머리에 솔이 달려 있습니다.

이게 무엇일까요?

맞습니다. 칫솔입니다.

이걸 뭐 할라고 가지고 나왔을까여?

맞습니다. 팔려고 나왔습니다.

이게 얼마일까요?

천원입니다.

뒷면으로 돌려 보겠습니다.

영어가 써 있습니다. 메이드 인 코리아!

이게 무슨 뜻일까요?

수출했다는 겁니다.

수출이 잘 됐을까요? 안 됐을까요?

망했습니다.

자 그럼, 여러분에게 하나씩 돌려보겠습니다.”

아저씨는 칫솔을 사람들에게 돌렸습니다.

황당해진 사람들은 웃지도 못했습니다.

칫솔을 다 돌린 아저씨가 말을 이어 갑니다.

“자, 여러분, 여기서 제가 몇개나 팔수 있을까요?

여러분도 궁금하시죠?

저도 궁금합니다.

잠시 후에 알려 드리겠습니다.”

잠시동안 궁금했습니다.

“몇개나 팔렸을까요?

4개가 팔렸습니다.”

말이 이어졌습니다.

“자 여러분, 칫솔 네개를 팔았습니다.

얼마 벌었을까요?

칫솔 4개 팔아서 4천원 벌었습니다.

제가 실망했을까요? 안 했을까요?

예! 실~망했습니다.

제가 여기서 포기할까요? 안 할까요?

저얼때 안 합니다.

왜냐구요?

저에겐 바로 ‘다음 칸’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저씨는 가방을 들고 유유히 다음 칸으로 건너갔습니다.

남아 있는 사람들 거의 뒤집어 졌습니다.

웃다가 생각해보니, 그 아저씨는 웃음만 준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아저씨가 우리에게 보여준 것 중 더 중요한 것은 희망, 바로 희망이었습니다.

그 아저씨처럼 우리의 인생속에서도 누구에게나 주어진 ‘다음 칸’이 있습니다.

이처럼 누구에게나 다음 칸인 내일이 있기에 우리는 절대 포기하지 않습니다.

세상살이가 ‘걸려 넘어지면 걸림돌이요, 딛고 일어서면 디딤돌입니다.’

세상사는 마음먹기에 달려 있습니다.

언제나 긍정적인 마인드로 하루 하루를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생각 잘하는 방법서

철학과 코칭은 지혜를 다루며, 존재와 인식을 다루는 공통점이 있다. 「오정근의 감정코칭」책은 퇴계 이황과 스피노자의 감정 철학을 토대로 감정의 본질과 인간의 마음 구조를 탐구한 책이다. 감정의

행동이 아닌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런 행동을 사람 자체가 잘못된 사람으로 인식하기 쉽습니다. 행동을 문제 삼고서도 변화가 없으면 “넌 왜 그 모양이냐? 누굴 닮아서 그러냐? 너

수업소감 13

‘겉만 보지 말고 속을 보자’라는 문구가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내가 불편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선하게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한 일임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교수님이 예시로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발생된 미래를 다루는 코칭

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