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현장에서 질문의 힘(2)

경우의 수를 구분하여 질문함으로써 상대방이 자기생각을 점검하도록 하는 질문법도 좋겠습니다.

==

엄마와 딸이 휴대폰 매장에 방문하여 딸이 최신형 휴대폰을 만지작거립니다.

판매사원이 딸에게 묻습니다. “이걸로 하시겠습니까?”

“글쎄요.“ 엄마가 말끝을 흘리며 결심을 못한 것 같은 대답합니다.

판매사원이 딸에게 묻습니다.

“지금 이 휴대폰을 구입하면 어떻게 될까요?”

“너무 기분이 좋죠! 친구들이 이걸 보면 멋지다고 할 거에요.”

엄마가 “신형이라 이게 좀 비싸서…”

판매사원이 딸을 바라보며

“지금 휴대폰을 구입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딸이 대답합니다.

“입학도 했는데… 친구들은 벌써 다 바꿨는데, 나만 구형폰 들고 다니려니까 좀 그렇고, 지금 사용하는 것은 충전도 자주해야 하고 좀 불편하죠.”

판매사원이 “그렇겠네요. 그렇다면 휴대폰을 구입하면 어떤 일이 생기지 않을까요?’

“조만간 바꿀 건데 무얼 살 건지 또 고민하지 않을 것 같아요.”

딸이 엄마를 바라보며 대답을 계속 이어갑니다.

“또 엄마한테 조르는 일도 없을 테고요.”

그러자 엄마가 고개를 끄덕이며 동의합니다.

“오늘도 예가 조르는 통에 여기 오긴 왔는데 오늘 안 사면 또 나를 조르겠네”

판매사원이 친절한 목소리로 묻습니다.

“그럼 이걸로 하시겠어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0

50분이 넘는 짧지 않는 강의였음에도 대부분이 내가 살아가며 말하고 행동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태도를 알려 주는 아주 유용한 정보들이었다. 특히 내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구절은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코칭에서 다루는 것은 본(本)

# 리더 : “코치님, 구성원이 저를 잘 따르지 않는데 이럴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코치 : “그 문제가 해결되면 팀장님에게 무엇이 좋아지나요?” 리더 : “불편한

수업소감 22

‘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

직관의 힘을 믿는 코치

처음 코칭을 배울 때 실습과정에서 실수할 까봐 주저하던 모습을 보고 당시 고참 코치들은 “자신의 직관을 믿으세요!” 라는 말을 여러 번 해주었습니다. ‘상황에 맞는 질문을 할

수업소감 38

대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처음 겪는 사회생활에 어떤 식으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할 때 소통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세가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