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놓고 말하고 싶은 주제는 무엇인가요?

코칭의 구분

코칭은 크게 비즈니스 코칭과 라이프 코칭으로 구분합니다. 쉽게 말하면 비즈니스 코칭을 의뢰하고 비용을 지급하는 대상이 회사이고 라이프코칭은 개인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다루는 주제가 다릅니다. 조직의 성과에 초점을 둔 것이 비즈니스코칭이며, 개인 삶의 변화에 초점을 둔 비중이 높은 것이 라이프코칭입니다. 물론 두 가지 코칭 모두 결국 이슈 당사자인 개인이 변화에 주목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비즈니스코칭을 10년 넘게 하면서 다양한 사례를 다루면서 코칭장면에서 고객들이 고민하는 이슈들을 구분해보았습니다. 아무래도 조직에서는 리더들을 대상으로 코칭을 제공하니 크게 보면 리더십에 해당하는 이슈들이라고도 하겠습니다. 개인 삶의 변화도 결국 셀프리더십이라고 보아도 되므로 공통점이 많다고 하겠습니다.

코칭이슈

① 정체성에 대한 이슈 – 리더로서의 정체성, 내가 누구인지 찾고 싶다거나, 어떻게 사는 게 잘 사는 것인지, 자기 삶을 내려놓고 싶다거나 자신감이 없다, 자존감이 없다 등

② 감정조절에 대한 이슈 – 욱하는 성격, 화난 감정상태, 우을해지는 등 자기 감정 조절이 잘 안 된다거나 스트레스가 많다 등

③ 대인관계에 대한 이슈 – 미운 사람 때문에 괴롭다, 불편한 사람과 지내기 힘들다, 피하고 싶다, 갈등관계가 지속된다, 나를 무시한다, 저 사람이 좀 변화가 되어야 하는데 안 된다 저 사람을 믿을 수 없다 등

④ 소통에 대한 이슈 – 말을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다, 싫은 소리를 기분 좋게 받아들이도록 표현하고 싶다, 말이 안 통한다, 말을 해도 안 듣는다, 자기고집으로 가득하다, 벽하고 말하는 것 같다, 말하면 그 때 뿐이다 등.

⑤ 자기개발 및 습관에 대한 이슈 – 멘탈관리, 체중관리, 건강, 시간관리, 글쓰기, 취미활동, 수면, 정리정돈을 잘하고 싶다 등 자기관리

⑥ 커리어에 대한 이슈 – 취업, 창업, 전환배치, 경력개발, 이직, 은퇴 후 삶 등

⑦ 조직에 대한 이슈 – 동기부여, 부하육성, 피드백, 업무성과, 목표달성

⑧ 개인 삶에 대한 이슈 – 결혼, 부부관계, 이혼, 자녀교육 행복한 가정, 재정이슈, 이주 등

이런 이슈들을 주제로 코칭대화를 나누었던 사례들은 [코칭과 철학]에 글들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나다울 때’는 언제였나요?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다울 때를 회상해본다면 어떤 기억이 떠오르나요? ~~~*~~~ ‘나 답다’라는 말은 참 듣기 좋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나다울 때는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2)

두 번쩨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당연했던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저는 그동안 제 힘으로 사는 줄 알았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왔지

행동이 아닌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런 행동을 사람 자체가 잘못된 사람으로 인식하기 쉽습니다. 행동을 문제 삼고서도 변화가 없으면 “넌 왜 그 모양이냐? 누굴 닮아서 그러냐? 너

고전 속에 담긴 코칭의 원리

[불교공뉴스-대전교육] 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감 설동호)은 6월 8일(목) 15:30, 시교육청 대강당에서 에듀-코치와 에듀-코칭 연구·선도학교 교직원 등 220여명을 대상으로 에듀-코칭 보급과 코칭 문화 확산을 위한‘제3회 에듀-코칭 아카데미 특강’을 실시했다.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앎을 다루는 감정코칭

코치 : 그래서 정말 화가 많이 나셨던 것이군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아시겠지만,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데 제가 화가 안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