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있었기에 정 회장이 휴양지에 들르면 원장은 부리나케 수행을 해야 했다. 정 회장은 늘 현장을 직접 관찰하며 이것저것 물었다.

어떤 걸 물을지 모르기에 항상 긴장했다. 엘크와 꽃사슴을 비롯해 공작새, 꿩, 오리, 호로조 등이 몇 마리씩 있는지 늘 외우고 다녔다.어느 날 정 회장은 목장을 향해 가면서 원장에게 “젖소가 몇 마리 있나?”하고 물었다. 원장은 “예, 스무 네 마리 있습니다”하고 얼른 대답했다. 정 회장은 “그럼 암소는 몇 마리야?” 하고 다시 물었다. 원장은 암수 구분해서 암기하지 않았기에 그 질문에 당황해 하면서 짐작으로 “…예, 열 두 마리입니다”고 대답했다. 정 회장은 못마땅한 목소리로 말했다. “젖소가 전부 암소지 숫소가 어디 있어?!” 현장 파악의 꼼꼼함을 요구하여 정 회장이 던진 질문이라 짐작해본다.

소크라테스는 젊은이들에게 늘 질문을 했다. 질문을 통해 ‘안다’의 범주를 깨닫게 했다. 질문을 던져 모르는 것이 무언지 일깨워줌으로써 스스로 지식을 채워 넣도록 했다. 그리하여 이른바 ‘너 자신을 알라!’고 설파했다. 연수원장이 질문을 접하자 비로소 얼마만큼 아는지, 무엇을 모르는지를 깨닫게 된 것과 비슷하다 하겠다. 동양에서는 지식을 얻는 방법으로 ‘가르친다(teaching)’는 개념을 사용했다. 지식을 갖춘 선생이 가르친다는 방식이다. 하지만 서구에서는 ‘끄집어낸다(ex+duce=education)’ 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원래 완벽한 지식을 지닌 생명의 혼이 몸을 빌어 태어나기 직전 망각(레테)의 강물을 마시는 바람에 모두 잊었다 한다. 따라서 잊었던 기억을 끄집어내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질문이라는 거다. 코칭도 고객의 잠재된 능력을 끄집어낸다.

마치 마중물과 같다. 소크라테스의 엄마는 산파였고, 아버지가 석공이었다고 전해진다. 이웃집에 어제까지 없던 아이가 생긴 것을 이상하게 여겨 소크라테스가 질문을 하면 엄마는 “그 아줌마 뱃속에 원래 아이가 있었는데 엄마가 꺼내어 아이가 나온 거야”하고 답을 해주었다. 저번 때까지 없었던 돌 사자상이 나타난 걸 보고 묻자 그의 아버지는 “원래 돌 속에 사자가 들어 있던 것을 아빠가 도와주어 끄집어 낸 것이란다” 하고 답을 해주었다고 한다. 뭔가 ‘꺼내어 돕는다’는 개념은 코칭의 기본 철학이다.

지식을 끄집어낸다는 개념 안에는 인간존재의 완전함을 받아들인다. 인간중심의 사고다. 그래서 좋다. 사람을 ‘부족한 존재’로 인식하고 채워나간다고 보는 동양의 접근과는 다르다. 필자가 코칭의 매력에 크게 빠진 이유도 이 때문이다. ‘부족한 존재’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면 굳이 고객에게 질문할 필요가 어디 있으랴? 코칭은 아름다운 동행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살필 찰(察)과 코칭

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생각 코칭

코칭은 고객 스스로 과제해결을 위한 답을 찾아가는 대화 과정입니다. 코칭은 흔히 마중물로 비유되곤 합니다. 한 바가지의 마중물을 펌프 속으로 들어 붓는 이유는 그 안에 물이

가정 불화를 평화로 전환시킨 코칭

코치는 경청을 하되 맥락적 경청에 신경 쓸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기 생각을 100% 완벽히 표현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생략도 되고 왜곡도 된 상태로 전달이 됩니다. 따라서

존재-인식-행동을 다루는 코칭

문제가 생기면 외부환경이나 남 탓하는 사람도 있고, 자기 비하 혹은 자책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둘 다 바람직한 모습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모습은 그런 상황에서 하나라도

사람은 연결을 통해 성장한다

커리어 코칭은 스토리를 발굴하고 가공하여 말이나 글로 준비하는 과정이다. 하나의 샘플로서 나의 커리어 스토리를 소개한다. 나의 커리 어를 돌아보면, 감사가 가득하다. 나는 대기업에 입사하여 인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