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코칭의 효과는 인식의 변화다. 다음은 학교와 전공을 세 차례 옮긴 대학생과의 대화다.

사례 1 인식의 변화

참가자 저는 부족한 게 많고 도피하는 사람이에요.

코치 다른 학교로 옮긴 걸 도피라고 생각하나요?

참가자 예.

코치 저는 도전하는 사람으로 보이는데요? 마음에 들지 않으면 도 전하고 또 도전하면서 어려움을 계속 이겨내는 사람 같은데요?

참가자 아! 코치님의 질문을 받고 보니 제 관점이 열려요. 생각해 보니 그러네요. 저는 왜 그런 관점을 갖지 못했을까요? 맞아요. 전 만족할 때까지 도전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두 번째 효과는 행동의 변화다. 코칭은 대개 1~2주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행동의 변화는 그 세션과 세션의 사이에서 일어난 다. 코칭 세션 종료 직전, 코치는 참가자에게 세션과 세션 사이 에 어떤 것을 실행할지 묻는다. 그리고 실행 약속을 응원한다. 혼 자서 하는 다짐보다 타인과 약속을 하면, 지킬 가능성이 훨씬 커 진다. 코치는 지난 세션에서 약속했던 실행이 어떠했는지 꼭 묻 는다. 그 가운데 무엇을 느꼈고, 무엇을 얻었는지, 주변 사람들의 반응은 어떠했는지 물어가며 성찰을 돕는다.

사례 2 세션과 세션 간 변화 행동에 대한 성찰

코치 지난 일주일 동안 실행했던 것을 들려줄 수 있나요?

참가자 지난번 코치님과 약속한 강점 리스트를 만들었어요. 친구 3명에게 카톡으로 강점에 관한 이야기를 주고받았어요.

코치 해 보니 소감이 어떤가요?

참가자 친구들이 저도 잘 몰랐던 강점을 말해서 깜짝 놀랐어요. 왜 그런지 이야기를 듣고 보니 저 자신에 대해 더 알게 됐습니다. 코치 그 강점을 어떤 상황에서 활용하면. 삶에 도움이 될까요? 참가자 음……. 그것까지 생각 못 해봤는데요. 맞아요. “설득력과 표현력이 좋다.”는 말을 들었죠. 앞으로 팀플레이에서 제가 발표 자 역할을 맡으면 좋겠어요.

세 번째 효과는 주변 사람들에게 주는 영향력이다. 참가자의 모습을 보고, 따라 하거나 배우려 한다면 좋은 역할 모델을 한 셈이 다. 영향력을 확산시킨 부수효과를 얻었기에 코칭 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코칭 시작할 때 참가자에게 “주변 사람들에게 코칭에 참 여 중이라고 알리면 좋겠다.”라고 권한다. 시간과 노력, 비용을 투자하는 만큼 효과를 얻기 위해서다. 주변인의 지지나 응원을 받는 것은 새로운 습관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외부에 공표 하면 할수록 실행에 대한 책임 의식은 커진다. 참가자의 커리어 설계 과정이나 결과물을 보고, 주변 사람이 자신도 저렇게 준비 하겠다는 마음을 갖는다면 좋은 효과임에 틀림없다.

사례 3 참가자의 변화에 대한 주변인의 반응

코치 코칭 시작한 지 4주가 지났어요. 그간 주변 친구들이 어떤 피드백을 해주던가요?

참가자 제가 변하긴 했나 봐요. 의식적으로 한 건 아니지만, 코치 님이 해주시는 질문이 효과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질문을 자주 했 나 봐요. 서로 고민거리를 나누는 친구가 있는데 제가 하는 질문 을 들으면 자극이 된다고 해요. 친구도 저처럼 커리어 설계를 하 고 싶다며 도움을 청하네요.

코치 좋은 소식이네요. 도움을 줄 수 있는 입장이 이미 된 것 같아 요. 축하합니다. 질문할 줄 아는 사람이 된 것 같은데, 그런 강점 을 어떤 상황에서 더 활용하면 좋을까요?

–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중에서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43

교수님이 말씀해주신 마음을 여는 말하기들의 예시들의 주체가 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여서 그런지 저도 쉽게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수업 중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마음이 힘들 때 어떻게 하나요?

1) 힘들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난능(難能)이란 단어입니다. 어렵고 힘드니까 능해진다, 는 뜻입니다. 2)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은 좋은 질문을 제게 던지는 겁니다. 이런 고난에도

호문호찰의 지혜

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단어는 원래

수업소감 23

사람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손뼉의 마찰로 비유한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런 경우가 있을 때 먼저 제 마음을 여는

<미스 트롯 2>와 감동스토리

저는 대학 교양수업에서 자기 스토리, 그 중에서도 자기를 사랑할만한 스토리를 말하도록 기회를주고 있고, 대학원 철학수업에서도 이론 자체보다 학습주체자인 자기이야기를 더 많이 하도록 합니다. TV조선의 미스트롯2는

인식전환의 단서

“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