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대학(大學)>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 위의 3가지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한다 면 효과를 거둔 것이다. 이 책을 읽은 답도 “그렇다.” 이길 바란다. 이제 편안한 마음으로 하나씩 살펴보자.

첫째, 명명덕(明明德). 자기 안의 강점(미덕)으로 스스로 밝아 졌는가? 총명, 현명의 명(明)이다. 커리어 코칭은 자기 존재에 대 한 의미를 확장시킨다. 수도 없이 많은 자신의 강점을 확인하게 된다. 자신감과 자존감이 커지면서 자신과 세상을 다른 관점으로 본다,

둘째, 신민(新民). 새로워졌는가? 배웠으니 밝아진다. 밝아졌으 니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새로워진다. 주어진 과제 혹은 관계 속에 서 자기답게, 자신감 있게 행동한다면 그것처럼 좋은 것이 또 있 을까? 커리어의 성장은 일이나 과제를 통해 일어난다. 남들이 달 라졌다고 느낀다면 바람직하다.

셋째, 지선(止善). 좋은 상태에 머무는가? “알고 보니 다 좋은 것인데,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 줄 알았네.”, 혹은 “역경은 나 를 성장시키고, 배움을 얻게 하는 기회였네.”라는 깨달음이 온다. 마음이 평온한 상태에 머문다. 상황이나 문제에 대해 스스로 이 해하는 힘이 생기면 잘 배운 것이라 하겠다.

코칭의 효과는 이렇게 단계별로 3가지를 꼽는다. 시간 단계별 로 그 효과를 파악하면 된다. 코칭 세션 중 참가자가 인식의 변화 를 말하면 잘된 코칭이다. “아하! 그렇구나.”, “맞아요. 제가 알고 있었는데 까마득히 잊고 있었네요.”처럼 의식의 확장, 깨달음, 통 찰을 얻으면 밝아지는 것이 된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가정 불화를 평화로 전환시킨 코칭

코치는 경청을 하되 맥락적 경청에 신경 쓸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기 생각을 100% 완벽히 표현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생략도 되고 왜곡도 된 상태로 전달이 됩니다. 따라서

감사일기를 9년 넘게 써온 소감은?

저에게 좋으니까 사람들에게 권하게 됩니다. 제가 깨달았던 경험을 나누면서 했던 말들이 생각납니다. 첫째, 감사는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 느끼는 것이다. 감사일기를 쓰기 시작한 초기

셀프코칭1]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아침에 깨어 만나는 매일매일의 오늘은 제게 기적과 같은 날입니다. 헬렌 켈러는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이라는 수필에서 ‘새벽에 일어나 밤이 낮으로 바뀌는 웅장한 기적을 보고 싶다’고

수업소감 15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