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문구를 소개합니다.

“쏜 살같이 지나가는 시간을 영원히 잡아두는 방법은 내가 깨달은 지혜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방법밖에 없다”

고 하며, 살면서 세상에서 받은 것이 너무 많았다고 회상합니다. 그래서 세상에 무언가 남기는 의미 있는 삶을 살고 싶다고 합니다.

이미 그렇게 충분히 살아오신 분이어서 공감이 갔습니다. 아울러 저 유명한 노래가사 “You raise me up to more than I can be” 를 통해 코치의 미션 – 고객의 손을 잡아 고객 스스로 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사람이 되도록 돕는 일 – 을 다시 새기게 되었습니다.

코칭은 How(이슈해결, Doing) 보다 Who(존재, Being)에 집중하듯이 코치는 고객에게 고객이 어떠한 존재인지 잘 알아봐줍니다. 그래서 코칭고객이 자기 생각보다 훨씬 더 큰 존재임을 인식하고, 계속 더 큰 존재로 나아가도록 돕습니다. 코칭스킬보다 더 중요한 것이 고객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것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퍼거슨 전임감독이 “리더십의 본질은 선수들도 모르는 5%를 끌어내는 것”이라고 말했는데, 코치인 제게도 가르침을 주는 말입니다. 그래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고 하며 이런 말들을 하게 됩니다.

“더 잘할 수 있는데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것은 아닌가요?”

“장점이 많으신데 최근 잘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떠신가요?”

“하면 잘 하실 수 있는데 그냥 주저하는 것처럼 보이네요. 어떤 도움이라도 필요하신가요?

고객을 대하는 태도를 떠올리면서 마음 속으로 새기는 말 하나가 있습니다. 「논어」에 나오는 출문여견대빈(出門如見大賓) 입니다. ‘문밖을 나서면 마치 큰 손님(VIP)을 만나듯 하라’는 말입니다.

선배코치님이 “코칭은 고객 내부에 숨어있는 엄청난 가능성을 찾는 여행과 같습니다. 나는 그들의 행복한 동반자이지요” 라고 했던 말이 참 신선하고 좋았습니다.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As Good As It Gets>에서 주인공인 잭 니콜슨이 말을 잘못하여 여자친구로부터 낭패를 봅니다. 여친은 자기 감정을 상하게 했으니, 자신을 칭찬하는 한마디 말을 해보라고 채근합니다. 이제 말을 잘못하면 판이 깨질 상황입니다. 잠시 시간을 끌더니 그는 “당신은 내가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게 만들고 있어요!!(You make me wanna be a better man)” 라며 명대사를 읊조립니다. 여친은 이렇게 멋진 말을 들어본 적이 없노라며 매우 만족해합니다.

코칭도 이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코치인 나 자신도 늘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 하고, 고객 역시 더 좋은 사람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에 빠져 들곤 합니다.

코치에게 고객이란 무엇인가? 이 답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대사에 있는 것 같습니다. “당신이 있기에 오늘 이 자리에 내가 있어요. 당신은 내 존재의 이유예요(You are the reason I am here today. You are the reason I am)”

성찰질문)

– 내가 지금보다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면 그 마음은 어디 것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나요?

– 평상 시 내가 존재하는 이유를 딱 하나만 든다면 그것은 무엇일까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터놓고 말하고 싶은 주제는 무엇인가요?

코칭의 구분 코칭은 크게 비즈니스 코칭과 라이프 코칭으로 구분합니다. 쉽게 말하면 비즈니스 코칭을 의뢰하고 비용을 지급하는 대상이 회사이고 라이프코칭은 개인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다루는 주제가 다릅니다.

커리어 코칭 모델

​ 커리어 코칭 모델은 주요 요소뿐 아니라 코칭 전개의 프로세스 와도 밀접한 연결성을 보여준다. 1. Love myself.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분석 2. Love

수업소감 36

가장 처음 예시를 들어주셨던 유럽으로 여행 간 학생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나라면 부모님이 더 이상 갚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셨다면 감사합니다라고 하고 약속을 저버렸을 것 같았기

살필 찰(察)과 코칭

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

수업소감 40

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