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 준비 과 정과 가시적 결과물을 통해 원하는 바를 얻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계별로 어떤 결과물이 도출되는지 인지하는 게 좋다.

코칭 세션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 자. 먼저, 코칭할 내용을 사전과제 형식으로 참가자에게 주는 방 법이다. 그리고 코치가 결과물 양식을 미리 준비해서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코칭 산출물들은 결국 스토리텔링과 자기표현과 연결된다. 즉 스토리텔링이 중요하다. 아무리 좋은 과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자 기표현을 잘못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 따라서 탐색과정에서 자기 이야기를 충분히 할 기회를 제공한다. 모든 단계마다 결과물을 말 로 표현하게 하고, 잘 정리해 두도록 요청한다. 그것이 바로 그림 2의 커리어 코칭 Stage 3 실행 촉진 단계와 바로 연결이 된다.

코칭 과정을 한 단어로 정의한다면 결국 스토리텔링이다. 이슈도 스토리요, 풀어가는 과정에서 “그 순간 어떤 기분이었나요? 그래서 어떻게 반응했나요?”와 같은 질문도 스토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세션과 세션 사이에서 어떤 시도를 했는지, 반응은 어쨌는지를 스토리텔링으로 묻고 답한다.

그 다음 세 션을 시작하면 또 스토리텔링을 하게 된다. 따라서 참가자가 변 화와 성취를 이룬 스토리를 말하지 않는다면, 코치 역시 성취를 얻기 어렵다. 코칭 과정에서는 이렇게 끊임없이 스토리를 나누 게 되므로, 나는 참가자에게 스토리텔링 공식을 알려준다. 스토리에 빠진 부분이 있으면 공식에 따라 질문하며 채우기도 한다. Chapter 3 ‛스토리텔링의 공식’을 참조하자.

–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중에서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과 은악이양선

2) 은악이양선 순임금은 은악이양선(隱惡而揚善)하는 사람입니다. 나쁜 것은 감추고 선한 것을 드러내는 분입니다. 예컨대 빅토르 위고의 명저인 『레비제라블』에서 성당의 물건을 훔쳐간 장 발장이 경찰에 의해 주교신부

‘나다울 때’는 언제였나요?

​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다울 때를 회상해본다면 어떤 기억이 떠오르나요? ~~~*~~~ ‘나 답다’라는 말은 참 듣기 좋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나다울 때는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호문호찰과 공감적 경청

​ 『논어』의 가장 마지막 구절이 부지언(不知言)으로 끝을 맺는데, ‘사람의 말을 못 알아들으면 사람을 안다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처럼 말(言)을 알아야 그 사람에 대해 바로

수업소감 11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를 수강하여 글말교실 글말특강 중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게 되었습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 먼저 표현하고 약속을 잡는 편입니다.

언제 온 마음을 담아 행동했나요?

​ 학생들 이름을 외워 불러줄 때가 생각납니다. 강의실에 일찍 온 학생들에게는 이름을 부르며 질문을 던지곤 했습니다. 3개 클라스 90명 이름을 1주만에 외워 불러 줄 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