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코칭 모델은 주요 요소뿐 아니라 코칭 전개의 프로세스 와도 밀접한 연결성을 보여준다.

1. Love myself.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분석

2. Love my work. 자기가 어떤 일을 좋아하는지 파악하고, 현재 하는 일에서 좋은 점을 찾아내기

3 Love my life. 자기 삶을 사랑하는 것을 지향하기

Love myself 주제로 참가자 스스로 생각/행동 챙기기

질문 내가 나를 사랑해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대답 내가 나를 사랑해야 하는 이유는 자신을 사랑해야 그 사랑을 다른 사람에게 나눠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말은

쉬운 것 같지만 실 천하기는 어렵다. 끝날 수 없는 인생 과제라고 생각한다.

질문 나는 나를 얼마나 사랑하고 있나? (10점 만점에 몇 점?)

대답 나는 나를 7.85점 정도 사랑하고 있다.

질문 언제까지 몇 점에 도달하면 좋을까?

대답 나는 올해 안에 나를 10점까지 사랑하면 좋을 것 같다.

질문 내가 나의 무엇을 보면 나를 사랑하고 있다고 알아차릴 수 있을까?

대답 나는 이것저것 하면서 부지런히 움직이고 하루를 알차게 보 냈을 때, 만족스러움을 느낀다. 하루를 잘 보내는

것이 나를 사랑하 는 것이라고 새삼 알게 되었다.

질문 그렇게 되기 위해 하고 싶은 행동 2가지는?

대답 첫째는, 일찍 일어나기다. 할 일이 없더라도 7시에는 일어나 겠다. 일어나도 침대에서 휴대전화를 만지지

않겠다. 청소하든, 씻든, 옷 정리하든, 사람을 만나든, 요리하든. 무엇을 하든 부지 런하게 움직이겠다.

둘째는, 자기 관리하는 것이다. 겉모습 뿐만 아니라 내 건강, 내 분위기까지 소중히 가꾸겠다. 여기서

가꾼다 는 것은 예쁘게 치장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자신을 마주했을 때 자신감 있는 모습을 느끼고 싶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

수업소감 46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라는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교수님께서 자신의 단점, 즉 약점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자신의 강점일 수도 있다고 하신 점이 굉장히 인상깊다.

호문호찰의 지혜

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단어는 원래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사람에게 낚여서 우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