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 이내 사랑과 만나게 됩니다.

세상을 살리는 것은 사랑입니다. 사람을 살아나게 하는 것도 사랑입니다. 사랑을 놓치는 순간 스스로 어두워져서 세상을 좁게 보게 됩니다. 그 순간은 바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입니다. 원래는 누구나 사랑 덩어리인데, 자기 욕망이나 욕구가 좌절되면 거기에 생각을 놓치면 자기다움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사례> 미운 게 진짜 미운 게 아니라는 걸 알아차린 사례

코칭고객 : 딸아이가 말도 안 듣고 고집 피워서 미워 죽겠네요.

코치 : 많이 실망스러운가 보네요.

코칭고객 : 예. 우리 아이는 좀 특이해요. 아니 아주 별난 것 같아요.

코치 :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그만큼 크신가 보네요.

코칭고객 : 그렇죠. 그런데 그게 마음대로 안되니…

코치 : 아이가 밉다고 하셨는데 그 미움이 어디에서 왔을까요?

코칭고객 : 그 거야 그 아이가 하는 행동들 때문에 그렇죠.

코치 : 그러니까 어머니 마음에 들지 않아 밉다고 하시는 것 아닌가요?

코칭고객 : 마찬가지 이야기 아닌가요?

코치 : 제 이야기에 동의가 되시는지 잠깐 들어보시겠어요?

코칭고객 : (끄덕끄덕)

코치 : 따님에게 사랑을 주고 싶은데 그것이 작동이 안되어 미움이 생긴 것 아닐까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코치 : 그러니까 원래 미운 것이 아니라 지금 밉다고 하는 것이 어머니의 사랑에서 온 것 아닐까요?

코칭고객 : 그건 그렇네요.

코치 : 미움이 사랑에서 온 것이다,라는 말에 동의하시니 감사하구요, 어떤 느낌이 드세요?

코칭고객 : 무슨 말인지 알겠어요.

코치 : 만일 따님이 문제가 되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 그래도 미울까요? 어떨 것 같나요?

코칭고객 : 그러면 좋겠어요. 저도 잔소리를 안 하게 되고 웃으며 대할 수 있죠.

코치 : 아까 미워 죽겠다는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코칭고객 : 진심은 아니네요. 제가 스트레스 때문에 그런 말을 했나봐요.

코치 : 그렇다면 따님도 스트레스를 받아서 삐뚜로 나간 건 아닐까요?

코칭고객 : 제가 아이에게 바라는 게 강할수록 저도 세게 말했었네요.

코치 : 엄마가 잔소리하고 싫은 표정으로 대할 때 따님은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갖게 될까요?

코칭고객 : 딸아이도 엄마가 밉다고 생각했겠네요.

코치 : 그렇다면 따님이 자기 생각을 바르게 전환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저도 말로 자극하지 말아야 하겠네요.

코치 :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코칭고객 : 화가 나가나 짜증이 나도 아이가 미워서 그런 게 아니라 사랑해서 그런 것이다, 라는 생각을 하면 저도 참을 수 있겠어요. 좀 기다려줄 수 있겠네요.

코치 : 하하 마음에 여유가 좀 생기시나 봅니다.

코칭고객 : 예. ㅎㅎ

코치 : 따님이 엄마 말을 잘 받아들이도록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제가 이제부터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으려고 해요. 아이도 공부하느라 스트레스가 많을 텐데 제가 제 방식대로 하려고 했던 것 같네요. 저도 공감해주고 위로나 격려의 말을 해주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제가 그런 것들을 놓쳤었네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선후를 챙기도록 돕는 코칭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생각이 좁아지고 위축감이 들면서 자신감도 약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럴 때 누군가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면 마음이 열리고 편안해집니다. 코칭의 목적이 힐링은 아니지만

살면서 잘 한 일을 꼽는다면?

감사일기 쓰기가 가장 꾸준히 잘 해온 일입니다. 9년째 매일 감사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쓰게 된 배경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저와의 원칙을 갖고 시작했었습니다. 오늘의 감사일기

수업소감 40

나는 내성적인 사람이다.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강의를 듣고 관련 정보를 얻고 싶었다. 오늘 강의를 듣고 많은 것을

<놀면 뭐하니> 에 등장한 파워 퀘스쳔

에 고등래퍼 이영지가 초대손님으로 출연하여 올해 스무 살이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갸할지 지혜를 구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같은 초대손님으로 출연한 장항준 감독이 연극영화과 학생들로부터 진로에

말하지 않은 것까지 들을 줄 안다면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