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 이내 사랑과 만나게 됩니다.

세상을 살리는 것은 사랑입니다. 사람을 살아나게 하는 것도 사랑입니다. 사랑을 놓치는 순간 스스로 어두워져서 세상을 좁게 보게 됩니다. 그 순간은 바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입니다. 원래는 누구나 사랑 덩어리인데, 자기 욕망이나 욕구가 좌절되면 거기에 생각을 놓치면 자기다움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사례> 미운 게 진짜 미운 게 아니라는 걸 알아차린 사례

코칭고객 : 딸아이가 말도 안 듣고 고집 피워서 미워 죽겠네요.

코치 : 많이 실망스러운가 보네요.

코칭고객 : 예. 우리 아이는 좀 특이해요. 아니 아주 별난 것 같아요.

코치 :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이 그만큼 크신가 보네요.

코칭고객 : 그렇죠. 그런데 그게 마음대로 안되니…

코치 : 아이가 밉다고 하셨는데 그 미움이 어디에서 왔을까요?

코칭고객 : 그 거야 그 아이가 하는 행동들 때문에 그렇죠.

코치 : 그러니까 어머니 마음에 들지 않아 밉다고 하시는 것 아닌가요?

코칭고객 : 마찬가지 이야기 아닌가요?

코치 : 제 이야기에 동의가 되시는지 잠깐 들어보시겠어요?

코칭고객 : (끄덕끄덕)

코치 : 따님에게 사랑을 주고 싶은데 그것이 작동이 안되어 미움이 생긴 것 아닐까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코치 : 그러니까 원래 미운 것이 아니라 지금 밉다고 하는 것이 어머니의 사랑에서 온 것 아닐까요?

코칭고객 : 그건 그렇네요.

코치 : 미움이 사랑에서 온 것이다,라는 말에 동의하시니 감사하구요, 어떤 느낌이 드세요?

코칭고객 : 무슨 말인지 알겠어요.

코치 : 만일 따님이 문제가 되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 그래도 미울까요? 어떨 것 같나요?

코칭고객 : 그러면 좋겠어요. 저도 잔소리를 안 하게 되고 웃으며 대할 수 있죠.

코치 : 아까 미워 죽겠다는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코칭고객 : 진심은 아니네요. 제가 스트레스 때문에 그런 말을 했나봐요.

코치 : 그렇다면 따님도 스트레스를 받아서 삐뚜로 나간 건 아닐까요?

코칭고객 : 제가 아이에게 바라는 게 강할수록 저도 세게 말했었네요.

코치 : 엄마가 잔소리하고 싫은 표정으로 대할 때 따님은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갖게 될까요?

코칭고객 : 딸아이도 엄마가 밉다고 생각했겠네요.

코치 : 그렇다면 따님이 자기 생각을 바르게 전환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저도 말로 자극하지 말아야 하겠네요.

코치 :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코칭고객 : 화가 나가나 짜증이 나도 아이가 미워서 그런 게 아니라 사랑해서 그런 것이다, 라는 생각을 하면 저도 참을 수 있겠어요. 좀 기다려줄 수 있겠네요.

코치 : 하하 마음에 여유가 좀 생기시나 봅니다.

코칭고객 : 예. ㅎㅎ

코치 : 따님이 엄마 말을 잘 받아들이도록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코칭고객 : 제가 이제부터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으려고 해요. 아이도 공부하느라 스트레스가 많을 텐데 제가 제 방식대로 하려고 했던 것 같네요. 저도 공감해주고 위로나 격려의 말을 해주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제가 그런 것들을 놓쳤었네요.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손흥민 선수에게 던진 질문들

손흥민하면 어떤 감정 단어가 떠오르나요? 저는 기쁨, 자랑스러움, 뿌듯함, 안심, 기대감, 놀라움, 행복, 감사, 열정과 같은 단어가 떠오릅니다. 손흥민 선수를 좋아하는 팬들이 전세계적으로 넓어지면서 팬들은

수업소감 11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를 수강하여 글말교실 글말특강 중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게 되었습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 먼저 표현하고 약속을 잡는 편입니다.

사람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 우리가 사는 환경을 자연 혹은 사회라고도 한다. 자연 세계는 자연의 질서나 원칙에 의해 움직인다. 자연 세계에 대하여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거나, 혹은 “지구가

<다 좋은 세상>을 읽고

전헌선생님의 책을 읽으며 종래와는 전혀 다른 류의 인식변화를 얻게 된다. 경험과학이나 해석학, 행동철학의 한계를 꼬집으며 그 동안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감정의 영역을 깊게 다룬 감정학이라는 또

알아차림과 직관을 활용하는 코칭

우리가 앎을 챙기는 방식 가운데 가장 고차원적인 것이 직관입니다. 코칭을 할 때 특히 자신의 직관을 믿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직관은 추리적 사고 과정을 뛰어 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