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와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대학」 책에 보면 본本과 말末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본(本)은 존재(being)에 해당합니다. 코칭은 존재와 사고방식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과 유사합니다.

코칭에는 [삼중고리헉습 triple loop learning ]이라는 모델이 있습니다. 이것은 결과가 좋지 않을 때 존재방식-사고방식-행동방식의 사이클에서 어디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일깨워줍니다. 가정이나 직장에서 피드백을 할 때 행동을 문제삼고 변화를 도모하지만 실패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행동을 문제 삼으면 상대의 행동은 문제행동이 되고, 그 사람은 문제행동을 하는 사람으로 낙인 찍고 대처하게 됩니다.

우리가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은 행동이지만 행동에 초점을 맞추면 실패하기 쉽습니다. 행동은 말 그대로 말단(末端)에 해당합니다. 존재에 대한 인식, 예컨대 원래 좋은 사람, 원래 잘하려고 하는 사람으로 인식을 하면서 상대하면 상대방의 사고방식도 활짝 열리면서 의식이 확장되면서 자신의 행동을 바꾸려 합니다.

<사례> 존재방식에 초점을 두는 코칭

코칭고객 : 지금 본부장님이 저를 픽업해서 이곳으로 왔는데, 지내다 보니 너무 힘드네요.

코치 : 같이 일하자고 픽업하셨다니 눈에 잘 띄셨나보네요. 본부장님이 팀장님의 어떤 점에 높이 평가하셨나요?

코칭고객 : 제가 강단도 있고 물불 안 가리면서 일을 끝까지 해내는 정신력이 좋다고 하셨어요.

코치 : 그렇다면 윗 분들이 좋아하실만 하겠네요. 지금은 어떤가요?

코칭고객 : 제가 일하는 방식이 마음에 안 드는지 자꾸 지적을 하네요. 저는 분석을 거쳐 그에 맞는 최적의아이디어를 결합해서 완벽하게 제안서를 만들어야 타당하다고 생각하는데 무조건 빨리빨리 해내라고만 하니 답답하네요.

코치 : 팀장님은 완벽을 추구하시는 분이시네요. 그러다 보니 시간이 필요하구요.

코칭고객 : 제가 분부장님에게 속은 것 같아요.

코치 : 무슨 말씀인가요?

코칭고객 : 인간성도 좋고 사람들에게 잘 대해주는 사교적인 스타일인데 같이 일을 해보니 그게 아니었어요. 사람은 어쩔 수 없나봐요?

코치 : 어떻게 되기를 바라시나요?

코칭고객 : 저도 스트레스를 안 받고 본부장님과 소통방식이나 관계도 좋아지면 좋겠어요.

코치 : 혹시 본부장님 스타일이 변했다면 어떤 이유가 있었을까요?

코칭고객 : 매출압박이 심할 거에요. 지난 반기동안 실적이 많이 추락했거든요. 하지만 우리회사만 그런 건 아니구요, 이쪽 분야 시장이 환경적 요인으로 많이 위죽됐거든요.

코치 : 그렇다면 책임자로서 정신적 압박감이 크겠네요.

코칭고객 : 그렇긴하죠. 그러니까 더욱 분석이 필요하고 최적의 제안을 해야 하는데, 본부장은 제안서 양을 늘려 시장을 확보하자고 하는 겁니다.

코치 : 그러면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코칭고객 : 설득하려고 애는 쓰지만 말을 듣지 않아요. 계속 푸시를 가할뿐이에요. 참 매정한 사람이에요. 직원들 고생하는 것에 대해서는 알아주기는 커녕 주말도 없이 일을 하라며 매몰차게 밀어붙이거든요. 직원들이 탈진하는 상태인데도 위로나 격려는 없어 인정머리도 없는 사람이에요. 그런 사람인걸 제가 몰랐던 겁니다.

코치 : 그렇다면 많이 실망스러우시겠네요.

코칭고객 : 예 맞아요. 실망스럽고 그만둘까 싶기도 해요.

코치 : 제가 말씀 들으면서 한가지 드리고 싶은 것이 있는데 괜찮을까요?

코칭고객 : 예? 무슨…

코치 : 원래 안 좋은 사람인데 그걸 몰랐고, 이제 알게 되었다고 하셨잖아요?

코칭고객 : 예 그랬죠.

코치 : 원래 나쁜 사람이 있을까요? 아니면 원래 좋은 사람인데 스트레스 받다 보니 변형된 행동을 하는 걸까요?

코칭고객 : 사람들이 사회적 행동을 하니까 포장된 모습으로 자기 생동을 속일 수 있잖아요? 그런데 스트레스를 받으면 원모습이 나오는 것 아닌가요?

코치 : 그렇다면 누군가 팀장님을 보고 원래 나쁜 사람이라고 이야기한다면 어떤 기분일까요?

코칭고객 : 기분이 안좋겠죠.

코치 : 그렇죠? 일부러 나쁜 의도로 일을 하거나 사람을 대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코칭고객 : 별로 없네요. 다만 스트레스 받으면 나도 모르게 좀 거칠어지기는 하죠.

코치 : 그렇다면 팀장님의 본성이 거친 사람일까요? 아니면 좋은 사람일까요?

코칭고객 : 그렇게 질문하시니 본성은 좋은 것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가 있네요. 그래도 우리 본부장님은 좀 이상한 사람이에요.

코치 : 좋습니다. 본부장님 성격이 이상한 사람이라는 그 말씀이 맞다고 할게요. 그러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코칭고객 : 기분이 안 좋죠.

코치 : 그런데 만약 본부장님이 실적 때문에 압박감으로 스트레스가 심해져서 살아남으려고 밀어붙인다고 생각하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코칭고객 : 그렇다면 안타깝고 안쓰럽네요.

코치 : 어떤 느낌으로 지내시는 게 좋을까요?

코칭고객 : 후자네요. 제 마음 안에 긍휼히 여기는 마음이 사라졌었다는 생각으로 반성이 올라오네요. 본부장님도 많이 힘드셨을 텐데 내가 더 힘들다고만 생각하고 있었네요. 제가 먼저 변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를 깨우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의 효과, 변화의 확산

코칭의 효과는 고객의 인식 전환에 있고, 가장 이상적인 것은 고객의 주변사람들이 고객의 모습을 보고 따라서 변화되어 가는 것입니다. 예컨대 코칭고객이 잘 하고 있으면서 스스로 보잘

살면서 잘 한 일을 꼽는다면?

감사일기 쓰기가 가장 꾸준히 잘 해온 일입니다. 9년째 매일 감사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쓰게 된 배경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저와의 원칙을 갖고 시작했었습니다. 오늘의 감사일기

수업소감 12

처음 초반에 교수님께서는 ‘상대 마음을 얻는 것이 쉬울까,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쉬울까’에 대한 질문을 하셨다. 나는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조금 더 쉽겠지만 이것이

코치의 철학과 코칭의 원리

수업참여 소감은 프로그램 소개 아래에 있습니다. ​ 수업은 Zoom으로 진행이 되었고 37명의 코치님이 참석하셨는데 마치면서 수업 소감을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셨습니다. ​ – 오늘 좋았던 걸

<오정근의 커리어코칭> 책에 대하여

출판사 대표님이 정해준 제목이라 저는 좀 어색하고 낯뜨겁기도 합니다. 책 제목에 이름을 걸고 나니, 더 조심스러워집니다. 코치들의 봉사모임인 해피포럼의 김건중고문님의 “너의 이름을 아름답게 하여라”하는 감명깊은

수업소감 29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고 해서 어떤 특별한 말하기 방법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 말하기 방법은 특별한 것이 아닌 먼저 나를 칭찬해주고 사랑해야 된다는 것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