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 학생으로부터 이메일을 받았는데 ’제가 일을 벌여 놓고 실천력이 부족한 게 늘 저의 문제’라고 말을 했더니 교수님께서 그것은 제가 신중하고 그냥은 일을 못 넘어가는 성향이라서 그런 거라고, 그리고 저처럼 일을 벌이는 성향의 사람은 단체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라고 말씀을 하실 때, 저는 마냥 단점이라고 보이는 게 이렇게 장점이 될 수 있음을 알았고 그때부터 모든 일들의 일장일단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고 하더군요.

2)학습력 – 문제상황에서 비판하기 보다는 배울 점을 찾으려 하고 문제를 성장의 기회로 생각하는 편입니다. 예컨대 상대의 행동이 이해가 안되는 상황에서 ‘상대방이 그렇게 한 좋은 이유가 무얼까?’를 자문자답하면 납득이 되거나 수용이 되기도 하고요.

3)감사 – 가급적 “덕분에~”라는 말과 “감사”라는 말을 자주 떠올리고 말하려고 합니다. 9년째 감사일기를 꾸준히 이어가는 모습에서 감사가 저의 강점(미덕)이라 생각합니다. 감사일기를 매일 쓰다 보니 9년째 이르러 3,300일 넘게 쓰고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감사일기를 꾸준히 잘 쓰는 방법은?

첫째, 감사일기를 매일 쓰기로 마음 먹고, 일련번호를 부여하면서 만일 하루라도 건너뛰고 쓰지 않으면 다시 1번으로 돌아가는 방식을 사용했었습니다. (앞서 소개한 바 있습니다.) ​ 둘째로 감사는

10년 후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

‘다 좋은 세상’이라는 인문철학과 코칭을 함께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고 싶습니다. 각자 자기 삶을 이야기하면서 지혜와 사랑을 확충하는 학당을 운영하여 누군가에게 기여하는 삶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정신으로 살아가는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3)

세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신학기가 되어 학생들에게 혹은 어떤 단체 모임에서 자기 소개를 할 때가 생깁니다. 그 때마다 저는 저의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살면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죽을 뻔 했네” “오래 사세요” 하는 말은 내가 사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우리는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

판매 현장에서 질문의 힘(1)

좋은 질문은 듣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사례가 왜 제게 의미가 있을까요? 저는 ‘설득하지 말고 질문으로 납득시켜라’, 는 교훈을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