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드러커는 <단절의 시대>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답이라고 하지 않고 ‘인기 있는 답’이라고 말해줍니다. 표현이 참 점잖습니다.

아무튼 여기 인기있는 답은 결과에서 원인을 추론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사회가 고도화되어서 지식사회가 된 것이 아니라 지식사회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회가 고도화되는 것입니다.

그가 꼽은 올바른 답은 ‘인간의 근로수명이 많이 길어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원인에서 결과를 추론하는 것이 올바른 접근입니다. 그렇다면 왜 수명이 길어졌을까요? 드러커는 일반 상식과 달리 “의학 발달은 근로 수명 증가와는 별 관계가 없다”, 고 하면서 “과학적 영농과 과학적 관리가 인류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킨 진정한 의미의 영웅들이다. 그것들은 근로수명을 연장시키는 두 가지 주요 요소이다”:고 강조합니다.

제가 학교에 다닐 존 스튜어트 밀이 “인구의 자연 증가는 기하급수적인데, 식량의 생산은 산술급수적이므로, 인간의 빈곤은 자연 법칙의 결과”라고 배웠던 것이 기억납니다.

이처럼 인류에게 중차대한 문제였던 식량의 문제를 과학적 영농으로 해결했으며, 산업분야에서는 과학적 관리를 통해 일(작업)에 지식을 접목하여 생산성이 급증하면서 중산층이 형성되었다고 말합니다. 헨리 포드의 컨베이어시스템도 생산성 혁명을 일으킨 사례이며 그 후 경영혁명이 더해지면서 자본주의가 몰락하지도 않고 프롤레타리아 혁명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그는 <프로패셔널의 조건>에서 강조합니다.

근로수명의 연장은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켰을까요? 근로수명의 상승은 세상 어디에서나 학업 기간을 실질적으로 연장시켰습니다. 다시 말해 과학적 영농과 과학적 관리는 근로수명을 연장시켰고, 또한 생산성향상을 통해 획득한 부의 상당 부분은 보다 긴 학업기간에 투자하게 되었습니다.

인식오류를 일으키지 않으려면 원인에서 결과방향으로 생각하는 것이 타당할 때가 많습니다.

<사례> 결과에서 원인을 추론하는 인식오류 사례

코칭고객 : 어떤 담당은 보고를 미리 제 때에 하지 않고 급박하게 가지고 오니 제대로 검토할 수도 없고, 그럴 때면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런 일이 반복되니 화도 내고 그럽니다.

코치 : 팀장님이 보시기에 그 직원은 어떤 사람인가요?

코칭고객 : 태도가 안 좋은 사람 아닌가요?

코치 : 보고서를 제 때 가지고 오지 않는 점을 빼면 어떤 사람인가요?

코칭고객 : 열심히 하려고 하고 성실하긴 하죠.

코치 : 만일 보고서를 늦게 가지고 오는 담당직원 나름의 이유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코칭고객 : 잔 실수 없이 작성하면서도 백데이터를 완벽하게 만들려고 계속 수정했다가 늦었다?

코치 : 그렇게 볼 수 있겠네요. 그걸 만일 인정해주는 식으로 말해준다면 어떨까요?

코칭고객 : 좋아할 것 같네요. 의욕도 생기겠고요.

코치 : 팀장님은 보고를 제 때 받고 싶으신 것 아닌가요?

코칭고객 : 맞아요.

코치 : 갑자기 궁금한 게 생겼는데….팀장님은 ‘신속과 정확’ 중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두시나요?

코칭고객 : 음…그러고 보니 제가 반성 되는 부분이 생기네요. 제가 그동안 완벽을 강조해왔기 때문에 담당자들이 신속을 맞추지 못했네요. 내용이 덜 완벽하더라도 제가 감수하고 함께 보충하는 것이 더 낫다는 걸 느끼게 됩니다.

코치 :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하고 싶으신 건가요?

코칭고객 : 제가 담당자 입장에서 생각해보니… 좀 부족하더라도 잘한 점을 인정해주면 보다 신속하게 보고를 할 것 같습니다. 아까 제가 그 담당자의 태도가 안 좋다고 말한 것은 취소하겠습니다. ㅎ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요?

​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겠으나, 지금 이 순간 혼자 있다 보니 나다움으로 머무는 것이 가장 소중합니다. 나다움을 유지한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내 상태를

코치로서 가치와 소명은 무엇?

코칭은 앎을 다룹니다. 코치다운 코치로서 앎이 소중하기에 배움을 귀하게 여깁니다. 저도 그렇지만 누구나 더 잘 알면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앎을 사랑’하기에 ‘배워서 남

코로나와 관련하여

Q. 코로나가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건 어떤 부분인가요? 온리인으로 강의를 하게 되면서 디지털 스킬이 늘었고, Covid 19 덕분에 미래교육 환경을 미리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수업소감 22

‘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