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끝그림을 먼저 챙기는 코칭

모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습니다. 차를 운전할 때에도 목적지를 먼저 정하고 풀발합니다. 차를 운전하면서 뒤를 보고 운행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대화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인관계에서도 함께 좋은 관계유지가 목표라면 앞을 봐야 합니다. 지나간 것은 지나간 겁니다. 잘잘못을 따지면 상처가 생기기 쉽습니다.

무언가 불편한 일이 벌어진다면 사유종시(事有終始) 라는 말을 새기면 좋습니다.. 「대학」 책에 나오는 말로써 밀 그대로 “모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시작과 끝이 있다고 하질 않고 끝과 시작이 있다는 말입니다. 선후를 아는 것이 올바른 도(道)라고 했으니 종(終), 즉 끝그림을 먼저 그려보는 것이 순리에 맞다는 말입니다. 집을 지을 때에도 조감도를 먼저 그리듯이 말입니다.

인사평가를 하고 난 후 불만이 가득한 구성원이 찾아와서 따지는 경우 리더들이 이런 이슈를 다루기가 곤란하다고 합니다. 인사평가를 공정하게 열심히 해봐야 결과를 받아 들고 기분이 좋은 사람은 10%밖에 안되는데 이런 걸 굳이 왜 하느냐며 볼멘소리가 나옵니다. 따라서 앞서 나가는 기업들은 인사평가제도를 폐지하기에 이릅니다.

<사례> 평가결과를 납득시키지 못하는 리더 코칭 사례

팀장 : 제가 공정하게 평가했는데 그걸 인정하지 않고 계속 따지는 겁니다.

코치 : 난처하셨겠네요. 어떻게 대처하셨나요?

팀장 : 자기 고과가 왜 낮은지 제가 솔직하게 말해주었거든요. 너는 너를 보지만 나는 전체를 본다고 했거든요. 그랬더니 제3자랑 비교하면서 수긍할 수 없다는 거에요.

코치 : 납득시키느라 애쓰셨겠네요.

팀장 : 그래서 업무 비중이 다르다고 말해주었어요. 그랬더니 뭐라고 말하는지 아십니까? 그럼 왜 처음부터 그런 비중 있는 일을 자기에게는 왜 안 주었냐는 겁니다. 기가 막히더군요. 일 잘하는 친구에게 비중 있는 업무를 맡기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닙니까?

코치 : 그 직원과의 관계가 어떻게 되길 바라시나요?

오해없이 서로 신뢰하는 사이가 되면 좋겠어요.

코치 : 궁금해서 그러는데 그 직원이 그동안 잘 해온 것은 무엇인가요?

팀장 : 그 친구도 자기 업무에 충실하게 잘 하긴 했어요. 누구도 맡지 않으려는 업무도 처리해주었고, 때로 분위기 메이커로 역할도 잘 했고요.

코치 : 혹시 그런 이야기는 하셨는지요?

팀장 : 아뇨. 그런 말을 할 틈이 없었어요.

코치 : 지금 이런 말부터 시작했더라면 어땠을까요?

팀장 : 아~ 그렇네요. 그렇게 시작했더라면 이야기가 달라졌을 것 같네요. 왜 그런 생각을 못했을까요? 이제서야 후회가 되네요.

코치 : 제가 볼 때 팀장님이 그 직원에 대해 신뢰하는 마음이 충분한데 그 마음이 전달되자 못했나 봅니다. 그래서 안타까워하시는 것 같구요.

팀장 : 예 맞습니다.

(2부 추후 계속)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영화 <미나리>와 <미생> 속 갈등

영화 를 보면 부부 갈등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부부가 다투는 원인은 아직 살만하니까 그렇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영화 후반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히려

기분 좋게 주고 받는 피드백 코칭

흔히 피드백을 하다가 상처를 주고 받는 일이 생깁니다. 그런 일을 몇 차례 겪다 보면 피드백을 주고 싶은 사람은 망설이게 되고, 주변사람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의욕이

수업소감 19

글말특강을 듣고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한 학기 동안 배운 내용이 상기 되었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나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꿔서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의 말씀과

코칭효과에 대한 사례

첫 번째 코칭의 효과는 인식의 변화다. 다음은 학교와 전공을 세 차례 옮긴 대학생과의 대화다. ​ 사례 1 인식의 변화 참가자 저는 부족한 게 많고 도피하는

수업소감 47

글말교실 6주차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고 많은 도움이 됬다. 특히 공감하는 것이 약간 어렵고 나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도 어려웠던 나에게 정말 도움이 되었다.

살리는 말, 살아나게 하는 말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집안에 돈이 쪼달리자 아내가 밀린 외상값을 받아오라고 남편을 채근한다. 구두를 만들며 생계를 꾸려가는 제화공인 남편은 몇 집을 돌아다니며 아쉬운 표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