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생각 코칭

코칭은 고객 스스로 과제해결을 위한 답을 찾아가는 대화 과정입니다. 코칭은 흔히 마중물로 비유되곤 합니다. 한 바가지의 마중물을 펌프 속으로 들어 붓는 이유는 그 안에 물이 있다는 것을 믿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 내부에 답이 있다는 믿음이 있기에 코치는 코칭

고객에게 질문을 합니다. 코칭을 줄탁동시로도 비유합니다. 문제상황에서 벗어나려고 싶어하는 코칭고객과 밖에서 질문으로 생각을

두드려주는 것이 마치 알 속의 새끼 병아리와 어미 닭이 안팎으로 부리로 쪼는 그것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맹자가 ‘생각하면 얻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지 못한다 (사즉득지 불사즉부득야, 思則得之 不思則不得也) ’고 하였듯이 질문은 생각을 열어주는 열쇠와 같습니다. 질문은 생각을 열어주기에 코칭에서의 꽃은 질문이라고 합니다. 소크라테스가 그랬던 것처럼 코칭은 질문을 통한 대화 과정입니다. 소크라테스가 집요하게 질문을 했던 이유는 부지(不知 : 잘못 앎)를 밝혀내어 앎에 이르도록 돕기 위해서 였습니다. 다시 말해 그는 무지(無知 : 모름)를 공략한 것이 아니라 잘못(不) 알고 있는 지(知)을 캐내어 앎에 이르는 길을 도와준 현인이었습니다.

<사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코칭사례

코치 : 지금 하는 일이 힘들어 사표를 내고 다른 직장을 알아보고 싶으시단 말씀이죠? 직장을 그만두고 새로운 걸 찾아보겠다는 말씀이네요.

코칭고객 : 예

코치 : 사표는 아무 때나 낼 수 있으니까, 사표 내는 대신에 다른 생각도 해보면 좋을 것 같네요.

코칭고객 : 무슨 생각을 하면 좋을까요?

코치 : 다른 직장에 가도 일이 힘들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지 않을까요?

코칭고객 : 예 그렇겠죠(한숨)

코치 : 그만두는 것을 잠시 멈추고 찾아보기를 다른 차원에서 해보면 어떨까요? 예를 들면 지금 하던 일을 멈추고 다른 직무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코칭고객 : 그건 지금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코치 : 아~ 그러시군요. 그럼, 멈추고 찾아보기를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요? 지금 하던 생각을 멈추고 다른 방법을, 그러니까 업무에 적응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찾아보면 어떨까요?

코칭고객 : 해도 안되는 것 같아요. 지금은 터널에 갇혀 있는 기분이에요.

코치 : 터널에 갇혀 있던 기간이 얼마나 되어있다고 생각이 드나요?

코칭고객 : 예. 6개월 정도 된 것 같아요.

코치 : 예~. 몇 발자국만 걸어 나가면 터널 밖이라고 생각해 보시죠. 기분이 어떨 것 같나요?

고 날아갈 듯한 기분일 것 같아요.

코치 : 아! 참 좋으네요. 그런 기분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좋겠습니다.

코칭고객 : 저도 그렇게 되면 좋겠어요.

코치 : 적응을 잘 하기 위해 누군가에게 도움을 청한다면 누가 좋을까요?

코칭고객 : 음…그동안 혼자서만 끙끙댔었지, 선배들의 도움을 얻어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질 않았네요. 그런 방법을 더 찾아보고 그래도 안되면 사표를 검토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코치 : 아직 시도해보지 않은 방법 가운데 또 해볼만한 것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마음이 힘들 때 어떻게 하나요?

1) 힘들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난능(難能)이란 단어입니다. 어렵고 힘드니까 능해진다, 는 뜻입니다. 2)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은 좋은 질문을 제게 던지는 겁니다. 이런 고난에도

거리와 거리감, 어떻게 줄일까? – 오정근코치

동물원의 동물은 우리 안에 갇혀 있는 자신을 불행이라 생각할까 아니면 포획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는 걸 다행이라 생각할까? 이런 평소 의문은 ‘파이이야기’란 소설을 읽으며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수업소감 39

말할 떄는 나의 표현을 보고, 들을 때는 선한 의도를 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선한 마음으로 선하게 바라보면 선함이 유지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말을

사람의 마음 속에는 무엇이 있나?

​ 맹자는 마음의 움직임을 보면 자기 안의 네 가지 덕이 원래부터 있음을 알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인, 의, 예, 지 네 가지 덕은 마치 자기 몸에

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