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생각 코칭

코칭은 고객 스스로 과제해결을 위한 답을 찾아가는 대화 과정입니다. 코칭은 흔히 마중물로 비유되곤 합니다. 한 바가지의 마중물을 펌프 속으로 들어 붓는 이유는 그 안에 물이 있다는 것을 믿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 내부에 답이 있다는 믿음이 있기에 코치는 코칭

고객에게 질문을 합니다. 코칭을 줄탁동시로도 비유합니다. 문제상황에서 벗어나려고 싶어하는 코칭고객과 밖에서 질문으로 생각을

두드려주는 것이 마치 알 속의 새끼 병아리와 어미 닭이 안팎으로 부리로 쪼는 그것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맹자가 ‘생각하면 얻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지 못한다 (사즉득지 불사즉부득야, 思則得之 不思則不得也) ’고 하였듯이 질문은 생각을 열어주는 열쇠와 같습니다. 질문은 생각을 열어주기에 코칭에서의 꽃은 질문이라고 합니다. 소크라테스가 그랬던 것처럼 코칭은 질문을 통한 대화 과정입니다. 소크라테스가 집요하게 질문을 했던 이유는 부지(不知 : 잘못 앎)를 밝혀내어 앎에 이르도록 돕기 위해서 였습니다. 다시 말해 그는 무지(無知 : 모름)를 공략한 것이 아니라 잘못(不) 알고 있는 지(知)을 캐내어 앎에 이르는 길을 도와준 현인이었습니다.

<사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코칭사례

코치 : 지금 하는 일이 힘들어 사표를 내고 다른 직장을 알아보고 싶으시단 말씀이죠? 직장을 그만두고 새로운 걸 찾아보겠다는 말씀이네요.

코칭고객 : 예

코치 : 사표는 아무 때나 낼 수 있으니까, 사표 내는 대신에 다른 생각도 해보면 좋을 것 같네요.

코칭고객 : 무슨 생각을 하면 좋을까요?

코치 : 다른 직장에 가도 일이 힘들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지 않을까요?

코칭고객 : 예 그렇겠죠(한숨)

코치 : 그만두는 것을 잠시 멈추고 찾아보기를 다른 차원에서 해보면 어떨까요? 예를 들면 지금 하던 일을 멈추고 다른 직무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코칭고객 : 그건 지금 쉽지 않을 것 같아요.

코치 : 아~ 그러시군요. 그럼, 멈추고 찾아보기를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요? 지금 하던 생각을 멈추고 다른 방법을, 그러니까 업무에 적응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찾아보면 어떨까요?

코칭고객 : 해도 안되는 것 같아요. 지금은 터널에 갇혀 있는 기분이에요.

코치 : 터널에 갇혀 있던 기간이 얼마나 되어있다고 생각이 드나요?

코칭고객 : 예. 6개월 정도 된 것 같아요.

코치 : 예~. 몇 발자국만 걸어 나가면 터널 밖이라고 생각해 보시죠. 기분이 어떨 것 같나요?

고 날아갈 듯한 기분일 것 같아요.

코치 : 아! 참 좋으네요. 그런 기분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좋겠습니다.

코칭고객 : 저도 그렇게 되면 좋겠어요.

코치 : 적응을 잘 하기 위해 누군가에게 도움을 청한다면 누가 좋을까요?

코칭고객 : 음…그동안 혼자서만 끙끙댔었지, 선배들의 도움을 얻어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질 않았네요. 그런 방법을 더 찾아보고 그래도 안되면 사표를 검토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코치 : 아직 시도해보지 않은 방법 가운데 또 해볼만한 것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4

마음을 얻는 말하기가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볼 수 있는 특강이었다. 쉽게 말을 먼저 걸지 못하는 나를 돌아볼 수 있었고, 첫인사와 첫인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수업에서 배우고

정체성에서 출발하는 코칭

코치들은 대개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뜻을 두고 코칭에 입문합니다. 코치로서 정체성이나 가치관이 확고할수록 자신의 역할이나 상황에 대한 판단을 제대로 하는 것인지 의심이 적어집니다. 왜냐하면

살면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죽을 뻔 했네” “오래 사세요” 하는 말은 내가 사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우리는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

완전한 존재로 인식하는 코칭

# “코치님, 저는 문제가 많은 사람인가 봐요?” “무슨 말씀이세요?” “구성원이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화가 나고 화 내고 나면 후회스러우면서도 이런 일이 반복되니 감정 조절하지

수업소감 19

글말특강을 듣고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한 학기 동안 배운 내용이 상기 되었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나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꿔서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의 말씀과

말하지 않은 것까지 들을 줄 안다면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