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미나리>와 <미생> 속 갈등

영화 <미나리>를 보면 부부 갈등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부부가 다투는 원인은 아직 살만하니까 그렇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영화 후반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히려 더 큰 역경이 생기니 서로를 보다듬게 된다. 인지상정인가 보다. 상황을 이해하면 용서가 된다.

“조직에서 갈등이 생기는 이유는 조직에 인원이 많아서 그렇다.” 피터 드러커의 지적이다. 얼핏 정말 그럴까 싶지만 잘 생각해보면 수긍이 간다. 정말 바쁘면 다툴 시간도 없다. 다투는 것도 사치스럽다는 말이다. 그런 예가 드라마 <미생>에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장그래가 속한 영업3팀은 해야 할 일은 계속 쌓이는데 사람이 부족하니까 팀 안에서 다툴 틈도 없다. 서로 격려하고 응원하고 빈틈이 생기면 알아서 메워준다. 한마디로 끈끈하다. 상황이 어떤지 이해하기 때문이다.

반면 장그래와 동기인 안영이나 장백기 경우에는 인턴활동할 때 아주 유능했던 신입사원이다. 그럼에도 팀이나 선배들이 아직 성과를 기대하지도 않고 이렇다할 일도 주어지지 않는다. 당장은 없어도 티가 안나는 존재들이다. 당사자들이 겪는 심적 갈등이 점차 관계갈등으로 확대되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조직에서 누구와 갈등하고 있다면 자신이 필요한 존재인지 생각해보자. 서로 사라져야할 존재로 볼 가능성이 많지 않은가?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11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를 수강하여 글말교실 글말특강 중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게 되었습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 먼저 표현하고 약속을 잡는 편입니다.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 출판사 리뷰

■ 출판사 리뷰 저자의 커리어 코칭 강의 이론, 실제 커리어 코칭 경험으로 집대성한, 커리어 코칭 바이블! 코칭이 대세다. 코칭은 티칭, 컨설팅, 멘토링과 다르다. 코치는 참가자와

수업소감 22

‘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수업소감 37

이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수업이어서 낯을 많이 가리는 나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또, 이런 내용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을

수업소감 7

사람들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인 것 같다. 하나부터 열까지 쉽지 않다.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으려면 말을 할 때 눈을 맞추거나 끄덕여주거나 공감을 해주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