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치 : 그래서 정말 화가 많이 나셨던 것이군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아시겠지만,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데 제가 화가 안 날 수 있겠습니까?

감정의 원인은 자기 안에 있지 밖에 있지 않습니다. 납득이 안 되는 상대 행동은 촉발된 요인일 뿐이요, 화가 났다면 그 이유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논어」에는 생각을 챙기는 말 가운데 ‘분사난(忿思難)’’이란 말이 나옵니다. 화가 날 때는 화풀이로 인해 더 곤란하게 되는 상황을 생각하라고 가르쳐줍니다. 그렇다면 아래 두 가지 중 어느 것이 바람직할까요?

• 화가 나니까 화를 낸다.(A)

• 무엇이 납득이 안 되어 화가 나는지 알아 본다.(B)

감정은 곧 이성입니다. 감정과 이성은 다른 것 아닌가? 싶겠지만, 사실 둘을 나눠서 이야기할 뿐이지 감정과 이상은 원래가 하나인 셈입니다. 감정 속에 이성이 있고, 이성 속에 감정이 있습니다. 감정은 논리에 따르기에 화가 나는 것은 자연스런 일입니다.

위의 코칭 대화사례는 (A)에 해당합니다. 저도 그렇습니다만 화 내고나서 나중에 알고 보면 오해(잘못 알)일 때가 종종 있습니다. 상대가 왜 그랬는지 이해가 되면 화가 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B)와 같이 무얼 몰라서 화가 나는지 그 감정이 더 알아보면 관계를 해치지 않고 보다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겠습니다. 모르는 것은 두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내가 상대를 모르거나 혹은 상대가 나를 모르거나 하는 경우입니다.

<사례> 불편한 감정 상태에서 앎을 확인하는 사례

코치 : 만일 이유를 충분히 안다면 화가 안 나겠죠?

코칭고객 : 그렇죠.

코치 : 그렇다면 지금 무언가 덜 아니까 화가 계속 나는 건 아닐까요?

코칭고객 : 제가 확실히 압니다. 그 사람이 그런 사람이라니까요.

코치 : 그 사람은 이런 상황에서 김선생님이 이렇게까지 싫어한다는 걸 알고 있는 걸까요?

코칭고객 : 글쎄요… 모를 수도 있네요.

코치 : 상대가 모르고 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까 어떠세요?

코칭고객 : 그렇게 생각하니까 제 화가 좀 가라앉네요. 제가 다음에는 의사표현을 분명히 해야겠네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

기분 좋게 주고 받는 피드백 코칭

흔히 피드백을 하다가 상처를 주고 받는 일이 생깁니다. 그런 일을 몇 차례 겪다 보면 피드백을 주고 싶은 사람은 망설이게 되고, 주변사람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의욕이

발생된 미래를 다루는 코칭

피터 드러커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이 자신을 미래학자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그는 오직 관찰할 뿐이라고 하며 사회생태학자로 불리길 좋아했다. 미래는 아직

수업소감 9

자신 있게 말하기를 수강하면서, 그리고 이 글말 교실 특강을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다. 나는 내가 게으르다는 성격과 함께, 꾸준함 없이 작심삼일을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살면서 잘 한 일을 꼽는다면?

감사일기 쓰기가 가장 꾸준히 잘 해온 일입니다. 9년째 매일 감사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쓰게 된 배경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저와의 원칙을 갖고 시작했었습니다. 오늘의 감사일기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내는 코칭

우리가 음식점에 가서 무얼 먹을까 하며 망설이듯이 사실 코칭고객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잘 모를 때가 많습니다. 다루고 싶은 이슈가 있기는 하지만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