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치 : 그래서 정말 화가 많이 나셨던 것이군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아시겠지만,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데 제가 화가 안 날 수 있겠습니까?

감정의 원인은 자기 안에 있지 밖에 있지 않습니다. 납득이 안 되는 상대 행동은 촉발된 요인일 뿐이요, 화가 났다면 그 이유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논어」에는 생각을 챙기는 말 가운데 ‘분사난(忿思難)’’이란 말이 나옵니다. 화가 날 때는 화풀이로 인해 더 곤란하게 되는 상황을 생각하라고 가르쳐줍니다. 그렇다면 아래 두 가지 중 어느 것이 바람직할까요?

• 화가 나니까 화를 낸다.(A)

• 무엇이 납득이 안 되어 화가 나는지 알아 본다.(B)

감정은 곧 이성입니다. 감정과 이성은 다른 것 아닌가? 싶겠지만, 사실 둘을 나눠서 이야기할 뿐이지 감정과 이상은 원래가 하나인 셈입니다. 감정 속에 이성이 있고, 이성 속에 감정이 있습니다. 감정은 논리에 따르기에 화가 나는 것은 자연스런 일입니다.

위의 코칭 대화사례는 (A)에 해당합니다. 저도 그렇습니다만 화 내고나서 나중에 알고 보면 오해(잘못 알)일 때가 종종 있습니다. 상대가 왜 그랬는지 이해가 되면 화가 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B)와 같이 무얼 몰라서 화가 나는지 그 감정이 더 알아보면 관계를 해치지 않고 보다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겠습니다. 모르는 것은 두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내가 상대를 모르거나 혹은 상대가 나를 모르거나 하는 경우입니다.

<사례> 불편한 감정 상태에서 앎을 확인하는 사례

코치 : 만일 이유를 충분히 안다면 화가 안 나겠죠?

코칭고객 : 그렇죠.

코치 : 그렇다면 지금 무언가 덜 아니까 화가 계속 나는 건 아닐까요?

코칭고객 : 제가 확실히 압니다. 그 사람이 그런 사람이라니까요.

코치 : 그 사람은 이런 상황에서 김선생님이 이렇게까지 싫어한다는 걸 알고 있는 걸까요?

코칭고객 : 글쎄요… 모를 수도 있네요.

코치 : 상대가 모르고 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까 어떠세요?

코칭고객 : 그렇게 생각하니까 제 화가 좀 가라앉네요. 제가 다음에는 의사표현을 분명히 해야겠네요.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언제 온 마음을 담아 행동했나요?

​ 학생들 이름을 외워 불러줄 때가 생각납니다. 강의실에 일찍 온 학생들에게는 이름을 부르며 질문을 던지곤 했습니다. 3개 클라스 90명 이름을 1주만에 외워 불러 줄 때도

<다 좋은 세상>을 읽고

전헌선생님의 책을 읽으며 종래와는 전혀 다른 류의 인식변화를 얻게 된다. 경험과학이나 해석학, 행동철학의 한계를 꼬집으며 그 동안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감정의 영역을 깊게 다룬 감정학이라는 또

수업소감 13

‘겉만 보지 말고 속을 보자’라는 문구가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내가 불편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선하게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한 일임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교수님이 예시로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수동적인 공부에서 벗어나 AI를 직접 체험해보자!

안녕하세요. 저는 오정근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수동적인 공부만으로만 한계에 부딪혀왔다면, 오늘은 AI를 직접 체험해보는 새로운 경험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AI는 우리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점점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