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자 모든 시작점은 마음에서 나온다가 수업의 가장 중요한 주제였던 것 같습니다. 상대방에게 꾸며진 자신의 모습을 유려한 말솜씨로 꾸며내는 게 아니라 평소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마음을 신경 쓰고 되돌아보는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자신감있는 말하는 자세 역시 해내겠다는 마음을 가진다는 것만으로도 반 이상은 간다는 교수님의 말씀을 듣고 이제부터는 다른 사람에게 말을 먼저 걸어보고 수업시간에 알려주신 몇 개의 표현들을 숙지하고 이용해보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또한 평소에 말을 할 때 제 의도를 숨겨놓고 애둘러서 표현을 많이 하고 비유적인 표현을 많이 사용했었는데 이 점이 상대방에게 있어 오해를 부를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달았습니다. 이제부터는 상대방이 제가 말할 때의 의도를 왜곡해서 이해하지 않게 겉 표현을 쉽게 표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리고 상대방의 말을 이해할 때는 반대로 상대방의 의도를 한번 고려해보고 좋은 의도겠구나 생각을 해보고 반응을 하는 것이 좋은 말하기 비법이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번 수업으로 많은 것을 느끼고 배웠는데 실생활에서도 활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업초기 부분에서 자신의 단점을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석하는 것이 인상깊었다. 단순히 합리화 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자존감을 올려주고 내 장점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말수가 적어도 호감을 얻을 수 있을까?에 대한 부분이 기억에 남는다. 말이 많지 않은 편이라 고민이 많았는데, 반응을 잘 해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이 너무 당연한 말이었음에도 생각을 하지 못 했었기 때문에 다음부터는 리액션을 활발하게 해야겠다고 느꼈다. 또한 평소에 공감 표현 또한 잘 하지 않고 하는 것도 뭔가 오글거린다고 느껴져서 쉽게 말이 나오지 않았는데, 안 했다고 더 안 하는게 아니라 더 자주 연습을 해야 할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설득에 대한 설명도 기억에 남는다. 개인적으로 나는 감정은 사치스러운?것이라는 생각이 강해서 감정보다는 객관적인 장점만 설명해주려고 했었다. 하지만 상대방의 주관적인 감정에 따른 손실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업을 들으면서 깨달은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말들이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가 직접 실천을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실천할 방법을 어렵지 않게 느끼게 해주고 격려해 준 수업을 들은 것 같다. 다 같이 사는 사회에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얻기 위해 내 마음을 먼저 열고 용기 내 다가가고자 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

성의가 잘 드러나도록 돕는 코칭

아마 격물치지라는 말과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대학」 책에는 ‘격물 치지’ 와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라는 단어 사이에 ‘성의’와 ‘정심’이란 단어가 위치합니다. 이 8가지를 합하여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2)

두 번쩨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당연했던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저는 그동안 제 힘으로 사는 줄 알았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왔지

진짜 감정을 알아차리게 돕는 감정코칭

우리는 감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자기 감정을 오래하고 그 감정에 속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움이 진짜 감정이 아니라는 겁니다. 왜 미운가? 미움이란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들여다보면

수업소감 22

‘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

살면서 잘 한 일을 꼽는다면?

감사일기 쓰기가 가장 꾸준히 잘 해온 일입니다. 9년째 매일 감사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쓰게 된 배경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저와의 원칙을 갖고 시작했었습니다. 오늘의 감사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