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는 정말 어려운 것인 것 같다. 하나부터 열까지 쉽지 않다.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으려면 말을 할 때 눈을 맞추거나 끄덕여주거나 공감을 해주는 등 맞장구를 해주면 좋다고 했는데 다른 건 괜찮지만 나에게는 눈을 마주치면서 말하는 건 정말 어렵다. 부끄러운 것 같다. 하지만 노력하면 이것도 익숙해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 다른 것도 많았지만 사람에게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What-Why-How의 구조로 말하기인 것 같다. 이 구조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들으면서 수도 없이 들었던 말인데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왜 중요한지 ,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이 세 가지를 꼭 생각하면서 말을 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상대방이 들었을 때 깔끔한 말하기가 될 것 같다.

그리고 글말수업을 들으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상대방의 의도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평소 나에게 친절했던 사람이 오늘 나에게 갑자기 화를 내면서 툴툴거리는 말을 한다라고 했을 때 나한테 왜 저러지 라고 화를 내는 것이 아니라 오늘 안 좋은 일이 있는 것이겠구나라고 생각을 하면 더 배려심 있는 말하기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말 명심 해야 하는 좋은 말이지만 실천하기란 정말 쉽지 않다. 나는 평소 사람을 함부로 판단하거나 상대방에게 나쁜 말을 하지 않으려고 매우 노력하지만 막상 나한테 안 좋은 소리를 들으면 정말 참거나 흘려보내기가 쉽지는 않다. 그래도 최대한 그렇게 해야 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

그 이외에도 좀 더 상대방에게 공감이 될 수 있는 감정표현을 많이 하면 좋다는 내용도 도움이 많이 되었다. 상대방에게 호감을 얻는 말하기는 쉬운 것 같으면서도 어렵다. 마치 이론을 알고 있지만 실전은 힘든 것과도 같다. 그렇지만 나는 앞으로 살아가면서 최대한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사용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정말 좋은 수업이었고 자신감도 많이 얻은 수업이었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장착할 수 있었던 시간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9

자신 있게 말하기를 수강하면서, 그리고 이 글말 교실 특강을 들으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다. 나는 내가 게으르다는 성격과 함께, 꾸준함 없이 작심삼일을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존재를 알아주는 동기부여 코칭

코칭이나 티칭이나 리더십이나 공통적인 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입니다. 사람의 기운을 살아나게 하는 것을 흔히 동기부여라고 합니다. 사람을 살리는 마음을 한자로 생물지심(生物之心)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인(仁)

긍정 인생태도로 전환을 돕는 코칭

있는 것을 없다고 하거나 좋을 것을 싫다고 하는 것은 일종의 태도 문제일 수 있습니다. 태도란 어떤 대상을 향한 마음가짐이나 자세를 말합니다. 우리가 세상을 크게 둘로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4)

네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미리하는 감사도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안 좋은 일이 예상될 때였습니다. 아내에게 핀잔을 들을 게 뻔한 일이었습니다. 아내 눈에는 제가 부족하게

수업소감 22

‘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