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시작하실 때 1학기동안 들었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새록새록 생각났습니다.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힐링 수업인 이유가 ‘이론수업을 통해서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마음을 열게 되어 힐링 되었다’. 이 말씀이 강의를 들으면서 저에게 미소를 짓게 만들었습니다.

what why how 의 방식을 통해서 초안을 쓰면 대본을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쓰지 않더라도 잘 정리된 개요만으로도 이야기를 잘 이끌어 나갈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관계적 대화라는 것이 이번 글말특강의 핵심 포인트였는데, 상대방의 상황을 이해하고 거기에 진심으로 공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점이었습니다. 수업 초창기에 교수님이 자말 수업에서 자신에게 부족한 점, 이번 수업을 통해서 어떤 점이 나아졌으면 하는지에 대해서 채팅창에 올리라고 하셨던 적이 있었습니다. 저는 사람들과 말하기는 좋아하지만 친구들이 저에게 진담 반 농담 반으로 늘 ‘말에 영혼이 없다. 공감이 그게 다냐.’ 라고 말했기 때문에 그것이 저의 개선점이었습니다.

사실 수업을 진행하면서 가장 재미있었고 기다렸던 시간이 소회의실에 들어가 사람들과 주제에 대해 토론하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때문에 15주차 수업을 진행하고 여러 학우들과 소통하면서 실제로 SNS친구가 되기도 하고 내 이야기를 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다른 사람들의 얘기에도 집중하며 또 꼬리에 꼬리를 물어서 그 얘기에 대해서 서로 공감하면서 토론했던 점이 수업을 넘어서 저에게 좋은 경험이고 기회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제서야 저는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 남의 얘기를 듣고는 있지만 이 다음에 내가 무슨 이야기를 해서 주도권을 갖고 올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했다는 것이 저의 문제점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 책 특징과 목차

커리어 코칭은 물론 삶의 철학과 태도까지 성찰하게 만드는 『오정근의 커리어 코칭』은 다음 5가지 주안점으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1. 존재 중심의 코칭 자존감과 자신감을 높이고, 자기 이슈의

언제 온 마음을 담아 행동했나요?

​ 학생들 이름을 외워 불러줄 때가 생각납니다. 강의실에 일찍 온 학생들에게는 이름을 부르며 질문을 던지곤 했습니다. 3개 클라스 90명 이름을 1주만에 외워 불러 줄 때도

사람의 마음 속에는 무엇이 있나?

​ 맹자는 마음의 움직임을 보면 자기 안의 네 가지 덕이 원래부터 있음을 알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인, 의, 예, 지 네 가지 덕은 마치 자기 몸에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판매 현장에서 질문의 힘(1)

좋은 질문은 듣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사례가 왜 제게 의미가 있을까요? 저는 ‘설득하지 말고 질문으로 납득시켜라’, 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수업 소감 1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