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 몇 없는 마음이 잘 맞는 사람들과 대화할 때마저 그런 생각이 든다는 것이었다. 그저 방치하기엔 멀지 않은 미래에 곪아 터질 문제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었다.

강의를 듣고 나니 내가 가지고 있던 고질적인 문제에 대해 조금은 알 것 같았다. 타인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내 마음부터 잘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기자신과 친밀하게 지낼 줄 모르는 사람이 타인과 진정으로 연결될 수는 없는 노릇인데 그 사실을 간과하고 타인의 마음을 얻고자 대화했다니,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따로 없었다.

내가 나를 진정으로 대하는 마음이 타인에게까지 확장된다는 것. 과정을 건너뛰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모두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들이니, 일상에서 아주 조금의 노력만 더하면 긴 긴 시간을 단지 혼자서만 보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

평소 말을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인간관계에 있어서 말하기와 발표 혹은 인터뷰에서의 말하기는 다르다는 것을 깨닫고 난 후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말을 잘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습니다. 본 강의를 들으며 그 그 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일방적인 소통이 아니라 양방향 소통을 위한 노하우를 배울 수 있어 좋았던 수업입니다. 강사님께서 알기 쉬운 예시를 들며 설명해주셔서 이해도 잘되고 재밌었습니다.

**

마음을 여는 말하기는 결국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상대방을 지지해주고 응원해주고 부정적인 표현보단 긍정적인 표현을 쓰고 결국 그 모든 것이 배려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결국 내가 누군가를 존중해주고 배려할 수 있도록 내가 먼저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내 마음을 자연스럽게 전하기 위해 누군가를 배려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이번 특강은 정말 내 자신을 되돌아보는 기회가 되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13

‘겉만 보지 말고 속을 보자’라는 문구가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내가 불편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선하게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한 일임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교수님이 예시로

감사일기를 쓰게된 계기는 무엇인가?

젊고 유능한 한건수코치가 인천공항공사 등 우리나라에 보급한 라는 세계적 캠페인 성격의 프로그램의 강사과정을 이수하면서, 자연스레 에 참여했고 효과적으로 습관 만드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 Complaint

수업소감 37

이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수업이어서 낯을 많이 가리는 나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또, 이런 내용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을

코칭과 은악이양선

2) 은악이양선 순임금은 은악이양선(隱惡而揚善)하는 사람입니다. 나쁜 것은 감추고 선한 것을 드러내는 분입니다. 예컨대 빅토르 위고의 명저인 『레비제라블』에서 성당의 물건을 훔쳐간 장 발장이 경찰에 의해 주교신부

감사일기를 9년 넘게 써온 소감은?

저에게 좋으니까 사람들에게 권하게 됩니다. 제가 깨달았던 경험을 나누면서 했던 말들이 생각납니다. 첫째, 감사는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 느끼는 것이다. 감사일기를 쓰기 시작한 초기

자신을 나타내는 키워드 3개는?

나의 강점은? 3가지 이상 써볼까요? ​ 1) 통찰 – 단순화하거나 꿰뚫어 보려합니다. 관점전환도 잘하여 예컨대 학생들이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