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이 말씀해주신 마음을 여는 말하기들의 예시들의 주체가 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여서 그런지 저도 쉽게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수업 중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다‘라는 부분이 가장 인상 깊었는 데 가장 간단하고 쉽지만 실생활에서 명확하게 사용될 것 같습니다. 무조건적인 정보전달 수업보다 이렇게 용기를 복돋아 주는 수업이 저에게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평상시 친한 사람과는 말을 잘 나누지만 낯선 사람과의 대화를 할 때는 말을 잘 못했지만 질문으로 시작을 하자! 라는 내용을 보고 ex) 이름, 취미, 직업 등등 친근하게 다가가 편안하게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말하는 스킬들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특히, 모든 대화에 거의 쓸 수 있는 What-Why-How의 방법을 평상시 말을 할 때 무의식적으로도 할 수 있게 신경 써서 말을 해야겠다고 느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치의 철학과 코칭의 원리

수업참여 소감은 프로그램 소개 아래에 있습니다. ​ 수업은 Zoom으로 진행이 되었고 37명의 코치님이 참석하셨는데 마치면서 수업 소감을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셨습니다. ​ – 오늘 좋았던 걸

수업소감 6

강의를 시작하실 때 1학기동안 들었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새록새록 생각났습니다.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힐링 수업인 이유가 ‘이론수업을 통해서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마음을

큰 몸을 사용하도록 돕는 코치

# 팀장 : 코치님! 제가 어떨 때는 리더답게 행동하다가도, 어떨 때는 영 그렇지 못한 데 그 이유가 뭘까요? 코치 : 좋은 질문이네요. 그 질문을 들으니

수업소감26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말하기는 단지 말하는 것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마음이 열리는 것을 확인하고 그들의 마음을 얻는 것까지가 성공적인

수업소감 3

이번 특강은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배웠던 것의 연장선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특강 주제가 ‘마음을 얻는 말하기’인 만큼 특강의 모든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말하지 않은 것조차 들을 줄 아는 코칭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