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에 대한 강의였다. 평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고민이 많은 상태였기에 정말 도움이 되는 강의였다. 특히 상대방과의 대화 방법에 대한 내용들이 너무 좋았는데 그 중 첫째는 공감과 들어주기였다. 내가 생각해온 대화란 그저 말을 주고받는 행위였는데 대화에 있어서 상대방의 말을 들어주는 행위까지도 대화의 일부분이고 그 사람의 마음을 공감해주는 행동이라는 말이 많이 와닿았다.

두 번째는 감정표현이다. 사실 나는 감정표현에 서툴다. 내 감정을 표현하다 보면 상대방이 나의 감정에 신경 쓰는 게 부담스럽고 나 자신을 초라하게 만드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 생각해보면 대화에 있어서 말하는 사람들의 감정 또한 대화의 필수요소이고 나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서로 배려하는 것 또한 진정한 대화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내가 말을 잘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강의의 내용 중에 상대방의 표정을 보면 내가 말을 잘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하는 부분이 있었다. 머리를 한 대 쎄게 맞은 기분이었다. 너무 공감이 됐기 때문이다. 나 스스로도 나에게 흥미로운 주제나 재밌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들과 대화할 때는 웃고 있지만 자신만 알고 있거나 자신이 하고 싶은 얘기만 하는 사람과의 대화에서는 무미건조한 표정을 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혼잣말이 아닌 상대방과 교류를 하는 대화는 어렵다. 나에겐 고칠 부분이 많고 아직 배울 내용도 많지만 오늘 강의를 통해 내 말하기 기술은 분명 많은 부분이 발전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의 효과, 변화의 확산

코칭의 효과는 고객의 인식 전환에 있고, 가장 이상적인 것은 고객의 주변사람들이 고객의 모습을 보고 따라서 변화되어 가는 것입니다. 예컨대 코칭고객이 잘 하고 있으면서 스스로 보잘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고전 속에 담긴 코칭의 원리

[불교공뉴스-대전교육] 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감 설동호)은 6월 8일(목) 15:30, 시교육청 대강당에서 에듀-코치와 에듀-코칭 연구·선도학교 교직원 등 220여명을 대상으로 에듀-코칭 보급과 코칭 문화 확산을 위한‘제3회 에듀-코칭 아카데미 특강’을 실시했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우리가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에 빠지는 이유는 대체로 지각에 의존할 때 그렇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착각하면 그렇습니다. 그럴 리가 없다, 그런 사람이 아니다는 믿음이 앞서 있으면,

순임금의 지혜탐구 방법과 코칭

코칭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뜻은 원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