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와 신뢰를 얻기 위해선 어떤 말하기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게 되었다. 서로 접촉하는 두 개의 물체가 마찰을 만들어내는 것이 자연법칙이듯이 사람과 사람사이에서 마찰은 당연하다라는 부분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어쩌면 마찰이 없는 관계는 없지않을까 생각한다 다만, 그것을 어떤 매너와 존중을 갖고 극복해나가느냐가 중요할 것 같다. 또한, 의도와 표현을 적절히 신경써서 앞으로 말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인간관계에 있어서 ‘말’이라는 것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똑같은 내용이라도 어떤 말투와 단어들로 전달하는지에 따라 받아들이는 사람이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말 한마디로 사람 마음을 달랠 수 있고, 설득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말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공감과 질문 두 가지라고 느꼈습니다. 진실한 공감만 잘해도 상대방의 마음을 위로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평소에 저도 누군가에게 말할 때 상대방의 반응을 보면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습니다. 상대방이 공감을 잘해주고 내 마음을 잘 알아주면 더 이야기하고, 사소한 것도 다 말하게 되지만 상대방이 관심이 없어 보이고 딴짓한다면 저도 더 이상 이야기하지 않았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런 경험은 반대입장에서도 해보았습니다.

얼마전 친구의 고민을 들어주면서 경청하고 진심 어린 말을 건넨 적이 있습니다. 그때, 그 친구는 원래 말하려고 생각하지 않았던 이야기까지 저에게 해주면서 잘 들어주어 고맙다고 하였습니다. 이처럼 사람과의 관계에서 말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때문에 중요한 능력치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저도 이 강의에서 배웠던 것처럼 마음을 얻는 말하기를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수업소감 10

저는 낯을 별로 가리지 않고 어색한 분위기를 싫어하지만 말주변이 뛰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상대가 이야기를 하면 경청을 하는 편입니다. 오늘도 마침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자리를 함께하게

판매 현장에서 질문의 힘(1)

좋은 질문은 듣는 사람에게 집중하게 만들고, 생각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사례가 왜 제게 의미가 있을까요? 저는 ‘설득하지 말고 질문으로 납득시켜라’, 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10년 후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

‘다 좋은 세상’이라는 인문철학과 코칭을 함께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고 싶습니다. 각자 자기 삶을 이야기하면서 지혜와 사랑을 확충하는 학당을 운영하여 누군가에게 기여하는 삶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정신으로 살아가는

코칭과 은악이양선

2) 은악이양선 순임금은 은악이양선(隱惡而揚善)하는 사람입니다. 나쁜 것은 감추고 선한 것을 드러내는 분입니다. 예컨대 빅토르 위고의 명저인 『레비제라블』에서 성당의 물건을 훔쳐간 장 발장이 경찰에 의해 주교신부

성의가 잘 드러나도록 돕는 코칭

아마 격물치지라는 말과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대학」 책에는 ‘격물 치지’ 와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라는 단어 사이에 ‘성의’와 ‘정심’이란 단어가 위치합니다. 이 8가지를 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