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라는 주제가 저에게는 매우 와닿는 주제였습니다. 저는 현재 오정근교수님께서 하시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정말 행복하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오늘 들은 이 수업 또한 매우 행복하게 수강할 수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이 수업에서 배운 교훈들을 제 삶에 적용한다면 정말 좋은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로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생각의 전환은 제게 정말 많은 변화를 주었습니다. 단점을 장점으로 또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꿀 수 있는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저는 이 방법을 교수님께 배운 후 생활 속에서 정말 많이 적용해 보았고 그 결과 정말 긍정적인 일들이 많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메타인지 또한 말하기를 하거나 글을 쓸 때 매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좋은 방법들을 이 수업에서 다시 한번 더 배울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처음 만나는 사람과 대화해야 할 때 보통 어색하게 지나가는 시간이 많은데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질문법도 배울 수 있어 매우 유익했습니다. 이러한 질문을 통해 상대방과 더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고 이것이 또 다른 하나의 경쟁력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삶에서 제일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사람과의 관계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강의에서는 그 관계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하면 더 유연하게 잘 나아갈 수 있는지, 또 어떻게 하면 더 자신감 있게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에 대해 정말 잘 배울 수 있는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학을 졸업한 후의 사회로 나갔을 때 저희가 많이 사용해야 할 설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가르쳐주셔서 정말 좋았습니다.

저는 사실 사람들과 대화하고 발표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발표할 수 있는지는 잘 알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이 수업을 통해 그 방법을 더 자세히 알게 되고 이로써 제가 어떤 점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어떠한 것을 설득할 때는 득이 되는 점과 실이 되는 점을 이야기하면 더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난 후 실제로 동생에게 학습 관련 설득할 때 사용해 보았는데 정말 효과적으로 동생이 이해하는 것을 보고 뿌듯하기도 하고 정말 보람 있었습니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다”라는 교수님의 말씀을 잘 새기며 앞으로 설득하는 말하기를 할 때 득과 실의 방법뿐만 아니라 감정을 움직이는 말하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교수님께서 저희에게 해주신 말씀처럼 저도 나 자신을 먼저 사랑하고 이해하며 선한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되어 자신 있게 저의 생각을 말하고 또 많은 사람에게 위로와 감동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수업소감 46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라는 수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교수님께서 자신의 단점, 즉 약점은 다른 관점에서 보면 자신의 강점일 수도 있다고 하신 점이 굉장히 인상깊다.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요?

​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겠으나, 지금 이 순간 혼자 있다 보니 나다움으로 머무는 것이 가장 소중합니다. 나다움을 유지한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내 상태를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