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처음 겪는 사회생활에 어떤 식으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할 때 소통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세가지의 목차로 what why how 로 강의를 준비해주셔서 더 쉽게 이해하고 강의가 끝난 뒤에도 소통의 방법을 잊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직 대면수업 경험이 별로 많지 않아 사람들과의 모임, 동아리 자리, 과 선배 등 과의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에서 쉽게 말문을 여는 방법에서 시작하여 대화를 이어가는 방법, 또 상대방의 대화에 집중하고 공감하는 방법 말을 할 때 나의 생각의 핵심을 정리하여 전달하는 방법 등 대화에 있어 A부터Z까지 많은 것을 알아가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특히 오해없이 소통하는 방법에 대한 부분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표정이 좋지 않거나 평소보다 까칠하게 대하는 사람을 왜 저러지? 라고만 생각하였는데 무슨 일이 있는 건 아닌지 공감하고 물어봐야한다는 말씀에서 생각의 전환을 느꼈습니다. 앞으로 소통에 있어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불편한 말이 오고 가는 일 없이 상대방의 불만과 기분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 앞으로의 소통방법에 있어 큰 깨달음을 얻은 것 같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원하는 일이 절실하고 사람에게 진실하고 자신에게 성실하면 자기 삶이 충실해집니다” 라는 교수님의 말씀처럼 항상 원하는 일이 있다면 절실하고 간절하게 또 성실하게 진실하게 임하며 삶을 살아갈 것이라고 마음을 다잡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경험 세계 이전의 앎을 챙기는 코칭

소크라테스는 앎이 왜 좋은 것인지 개의 비유를 통해 설명합니다. 개가 예전에 한 번도 해코지를 당한 적이 없는데 낯선 사람을 보면 사납게 굴고, 반면에 주인이 알

감정이해와 감정코칭

감정은 인식의 주체입니다. 감정은 스스로 그렇게 될 수밖에 될 수 없는 이치를 압니다. 내가 느끼는 거지 다른 것 때문에 느끼는 게 아닙니다. 감정은 항상 주체이지

수업소감 42

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에 대한 강의였다. 평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고민이 많은 상태였기에 정말 도움이 되는 강의였다. 특히 상대방과의 대화 방법에 대한

<다 좋은 세상>을 읽고

전헌선생님의 책을 읽으며 종래와는 전혀 다른 류의 인식변화를 얻게 된다. 경험과학이나 해석학, 행동철학의 한계를 꼬집으며 그 동안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감정의 영역을 깊게 다룬 감정학이라는 또

고전 속에 담긴 코칭의 원리

[불교공뉴스-대전교육] 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감 설동호)은 6월 8일(목) 15:30, 시교육청 대강당에서 에듀-코치와 에듀-코칭 연구·선도학교 교직원 등 220여명을 대상으로 에듀-코칭 보급과 코칭 문화 확산을 위한‘제3회 에듀-코칭 아카데미 특강’을 실시했다.

수업소감 33

(자신있게 말하기 과목은 수강하지 않고 특강만 수강) 비교과 강좌 신청을 통해 글말교실 6회차 강의를 수강하게 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항상 바쁘게 살고 남한테 관심없는 나에게 정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