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처음 겪는 사회생활에 어떤 식으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할 때 소통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세가지의 목차로 what why how 로 강의를 준비해주셔서 더 쉽게 이해하고 강의가 끝난 뒤에도 소통의 방법을 잊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직 대면수업 경험이 별로 많지 않아 사람들과의 모임, 동아리 자리, 과 선배 등 과의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에서 쉽게 말문을 여는 방법에서 시작하여 대화를 이어가는 방법, 또 상대방의 대화에 집중하고 공감하는 방법 말을 할 때 나의 생각의 핵심을 정리하여 전달하는 방법 등 대화에 있어 A부터Z까지 많은 것을 알아가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특히 오해없이 소통하는 방법에 대한 부분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표정이 좋지 않거나 평소보다 까칠하게 대하는 사람을 왜 저러지? 라고만 생각하였는데 무슨 일이 있는 건 아닌지 공감하고 물어봐야한다는 말씀에서 생각의 전환을 느꼈습니다. 앞으로 소통에 있어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불편한 말이 오고 가는 일 없이 상대방의 불만과 기분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 앞으로의 소통방법에 있어 큰 깨달음을 얻은 것 같아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원하는 일이 절실하고 사람에게 진실하고 자신에게 성실하면 자기 삶이 충실해집니다” 라는 교수님의 말씀처럼 항상 원하는 일이 있다면 절실하고 간절하게 또 성실하게 진실하게 임하며 삶을 살아갈 것이라고 마음을 다잡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긍정 인생태도로 전환을 돕는 코칭

있는 것을 없다고 하거나 좋을 것을 싫다고 하는 것은 일종의 태도 문제일 수 있습니다. 태도란 어떤 대상을 향한 마음가짐이나 자세를 말합니다. 우리가 세상을 크게 둘로

수업소감 48

‘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는 ‘말’이라는 것을 진짜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일상에서 가장 많이 하고 익숙한 것이 말이지만 말로 인해 많은

지금 이 순간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요?

​ 소중하지 않은 것은 없겠으나, 지금 이 순간 혼자 있다 보니 나다움으로 머무는 것이 가장 소중합니다. 나다움을 유지한다는 것은 내가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내 상태를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호문호찰과 공감적 경청

​ 『논어』의 가장 마지막 구절이 부지언(不知言)으로 끝을 맺는데, ‘사람의 말을 못 알아들으면 사람을 안다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처럼 말(言)을 알아야 그 사람에 대해 바로

수업소감 24

마음을 얻는 말하기가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볼 수 있는 특강이었다. 쉽게 말을 먼저 걸지 못하는 나를 돌아볼 수 있었고, 첫인사와 첫인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수업에서 배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