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수업이어서 낯을 많이 가리는 나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또, 이런 내용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을 더 재밌게 들었다. 그 중 ‘스몰 토크’를 이용하는 말하기 방법이 인상이 깊었다. 대학 와서 여러 조별과제를 하며 초면인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되었는데 그때마다 어떻게 말을 해야 할지 항상 어려웠었다. 그러나 이런 질문들을 활용하면 말을 계속 이어갈 수 있을 것 같다.

말하기를 할 때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인상이 깊다. 일단 누군가와 대화를 하려면 먼저 상대방이 나에게 마음을 여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말 중요한 요소인 것 같다.

또한 말하기 순서를 제시해주셨던 부분이 마음에 들었다. 너무 막연하게만 느껴졌는데, ‘What, Why, How’ 라는 세 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해주시니 더 이해가 잘 되었다. 또 이 단계 중 ‘큰 것부터 말하기’나 ‘좋은 점부터 말하기’ 같은 세부 방법들에 대해 설명해주셔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읽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지 않으면 애초에 좋은 관계가 맺어질 수 없는 것 같다.

선한 마음을 가지면 선함이 유지된다는 말씀이 가슴에 와닿았다. 정말 이런 말하기 방법은 살면서 꼭 알아야하는 부분이고,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좋았다. 또 예시 상황도 같이 언급해주셔서 강의가 정말 재밌었다. 이번 강의 내용은 너무 유익했고, 잘 안 잊혀질 것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영화 <미나리>와 <미생> 속 갈등

영화 를 보면 부부 갈등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부부가 다투는 원인은 아직 살만하니까 그렇다는 점이다. 맞는 말이다. 왜냐하면 영화 후반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오히려

질문을 통해 피드백을 전하는 코칭

우리는 피드백을 할 때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왜냐하면 행동의 변화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대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변화를 요청하면 상대방은 자칫 간섭이나 통제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감정이해와 감정코칭

감정은 인식의 주체입니다. 감정은 스스로 그렇게 될 수밖에 될 수 없는 이치를 압니다. 내가 느끼는 거지 다른 것 때문에 느끼는 게 아닙니다. 감정은 항상 주체이지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코칭

이슈를 지닌 코칭고객들은 자기가 당면한 문제가 해결하려면 내가 아닌 상대방이 변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코치는 이슈 당사자를 만나고 있을 뿐이므로 코칭 장면에 없는

수업소감 24

마음을 얻는 말하기가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볼 수 있는 특강이었다. 쉽게 말을 먼저 걸지 못하는 나를 돌아볼 수 있었고, 첫인사와 첫인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수업에서 배우고

수업소감 18

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