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처음 예시를 들어주셨던 유럽으로 여행 간 학생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나라면 부모님이 더 이상 갚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셨다면 감사합니다라고 하고 약속을 저버렸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책임을 회피해버리고 이기적으로 행동할 수도 있었을 텐데, 앞으로의 자신과의 약속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게 대단하다고 느껴졌다. 그리고 이후 호감을 얻는 말하기에 대해 설명해주셨다. 그리고 스몰 토크의 주제들, 공감을 얻는 말하기에 대해 설명해주시고, 핵심을 전달하기와 소감을 말하는 방법을 what, why, how를 통해 설명해주셨는데, 말 할 때 요점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굉장히 힘들어했던 나로서는 이 방법을 통해 연습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소통에 오해가 생기는 원인에서 말할 때/들을 때, 의도/표현 표에서 어떻게 오해가 만들어지는지도 알아봤는데, 서로 선한 의도에서 출발한다는 점이 신기하면서도 슬펐다. 선한 의도로 말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텐데, 그런 선한 의도가 표현으로 정확히 연결되지 않아 제대로 전달될 수 없다는 점이 슬펐다. 나는 다른 사람이랑 소통할 때 다른 사람의 표현 때문에 짜증이 났던 적이 꽤 있는데, 그 사람의 의도가 선할 것이라고까지는 생각하지 못해서 그랬었던 것 같다. 나를 많이 돌아볼 수 있었고, 다른 사람이랑 대화할 때 짜증이 난다면, 그 사람의 의도가 뭐였을지 생각해보는 게 나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놀란 건 설득에서 논리보다 감정이 우선시된다는 것이다. 나는 당연히 논리정연하고 깔끔하게 정리된 논리가 사람을 설득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논리가 10%정도만 필요하다니… 감정을 철저히 배제하고 논리만으로 설득하려 했던 나의 노력은 그다지 큰 영향이 없었을 거라 생각하니 씁쓸하다.

스몰 토크부터 시작해서 핵심 전달하기, 오해가 발생했을 때 말하기, 설득하는 말하기같이 일상 생활에 필요한 말하기의 전반에 대해서 설명해주셔서 재미있게 들었다. 나의 말하기나 다른 사람의 말하기 등등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수업이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48

‘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나는 ‘말’이라는 것을 진짜 중요하게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일상에서 가장 많이 하고 익숙한 것이 말이지만 말로 인해 많은

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큰 몸을 사용하도록 돕는 코치

# 팀장 : 코치님! 제가 어떨 때는 리더답게 행동하다가도, 어떨 때는 영 그렇지 못한 데 그 이유가 뭘까요? 코치 : 좋은 질문이네요. 그 질문을 들으니

수업소감 10

저는 낯을 별로 가리지 않고 어색한 분위기를 싫어하지만 말주변이 뛰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상대가 이야기를 하면 경청을 하는 편입니다. 오늘도 마침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자리를 함께하게

2021년 기대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2021년 기대하고 있는 일은 새로운 영역으로 저를 확장하는 것입니다. 피터 드러커는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전쟁의 주체이었던 국가로서는 사회작동이 어렵다고 보고 새로운 축으로

말하지 않은 것까지 들을 줄 안다면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