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처음 예시를 들어주셨던 유럽으로 여행 간 학생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나라면 부모님이 더 이상 갚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셨다면 감사합니다라고 하고 약속을 저버렸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책임을 회피해버리고 이기적으로 행동할 수도 있었을 텐데, 앞으로의 자신과의 약속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게 대단하다고 느껴졌다. 그리고 이후 호감을 얻는 말하기에 대해 설명해주셨다. 그리고 스몰 토크의 주제들, 공감을 얻는 말하기에 대해 설명해주시고, 핵심을 전달하기와 소감을 말하는 방법을 what, why, how를 통해 설명해주셨는데, 말 할 때 요점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굉장히 힘들어했던 나로서는 이 방법을 통해 연습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소통에 오해가 생기는 원인에서 말할 때/들을 때, 의도/표현 표에서 어떻게 오해가 만들어지는지도 알아봤는데, 서로 선한 의도에서 출발한다는 점이 신기하면서도 슬펐다. 선한 의도로 말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텐데, 그런 선한 의도가 표현으로 정확히 연결되지 않아 제대로 전달될 수 없다는 점이 슬펐다. 나는 다른 사람이랑 소통할 때 다른 사람의 표현 때문에 짜증이 났던 적이 꽤 있는데, 그 사람의 의도가 선할 것이라고까지는 생각하지 못해서 그랬었던 것 같다. 나를 많이 돌아볼 수 있었고, 다른 사람이랑 대화할 때 짜증이 난다면, 그 사람의 의도가 뭐였을지 생각해보는 게 나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놀란 건 설득에서 논리보다 감정이 우선시된다는 것이다. 나는 당연히 논리정연하고 깔끔하게 정리된 논리가 사람을 설득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논리가 10%정도만 필요하다니… 감정을 철저히 배제하고 논리만으로 설득하려 했던 나의 노력은 그다지 큰 영향이 없었을 거라 생각하니 씁쓸하다.

스몰 토크부터 시작해서 핵심 전달하기, 오해가 발생했을 때 말하기, 설득하는 말하기같이 일상 생활에 필요한 말하기의 전반에 대해서 설명해주셔서 재미있게 들었다. 나의 말하기나 다른 사람의 말하기 등등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수업이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수업소감 32

자신있게 말하기 첫 수업시간에도 중요하게 생각했던 what why how의 논리구조에 다시 한번 복기할 수 있었고, 메타인지의 중요성 또한 다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한 말에

겉말보다 속말에 집중하는 코칭

「대학」 책 서두에 물유본말 (物有本末)이란 말이 나옵니다. 만물에는 본(本이 있고 말(末)이 있다는 뜻입니다. 본은 사람이고 말과 행동은 말에 해당합니다. 말은 끝이어서 흔히 조직에서 말단사원이라는 표현을

<다 좋은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 다 좋은 세상은 평천하를 이루는 세상이다. 내 감정이 평안해지면 그것이 곧 평천하다. 내가 변하면 세상은 이미 변한 것이다. – 다 좋은 세상은 너와 내가 소중한 세상이다. 하나라도 없으면 우주에

수업소감 45

평소 인간 관계에 고민이 많았던 터라 말하기 수업에 흥미가 있었다. 특히 나는 남들에게 공감을 잘 해주지 못하거나 감정 표현에 미숙한 것 같다는 자각이 있어 늘

수업소감26

‘마음을 얻는 말하기’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말하기는 단지 말하는 것만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마음이 열리는 것을 확인하고 그들의 마음을 얻는 것까지가 성공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