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처음 예시를 들어주셨던 유럽으로 여행 간 학생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나라면 부모님이 더 이상 갚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셨다면 감사합니다라고 하고 약속을 저버렸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책임을 회피해버리고 이기적으로 행동할 수도 있었을 텐데, 앞으로의 자신과의 약속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게 대단하다고 느껴졌다. 그리고 이후 호감을 얻는 말하기에 대해 설명해주셨다. 그리고 스몰 토크의 주제들, 공감을 얻는 말하기에 대해 설명해주시고, 핵심을 전달하기와 소감을 말하는 방법을 what, why, how를 통해 설명해주셨는데, 말 할 때 요점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굉장히 힘들어했던 나로서는 이 방법을 통해 연습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소통에 오해가 생기는 원인에서 말할 때/들을 때, 의도/표현 표에서 어떻게 오해가 만들어지는지도 알아봤는데, 서로 선한 의도에서 출발한다는 점이 신기하면서도 슬펐다. 선한 의도로 말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텐데, 그런 선한 의도가 표현으로 정확히 연결되지 않아 제대로 전달될 수 없다는 점이 슬펐다. 나는 다른 사람이랑 소통할 때 다른 사람의 표현 때문에 짜증이 났던 적이 꽤 있는데, 그 사람의 의도가 선할 것이라고까지는 생각하지 못해서 그랬었던 것 같다. 나를 많이 돌아볼 수 있었고, 다른 사람이랑 대화할 때 짜증이 난다면, 그 사람의 의도가 뭐였을지 생각해보는 게 나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놀란 건 설득에서 논리보다 감정이 우선시된다는 것이다. 나는 당연히 논리정연하고 깔끔하게 정리된 논리가 사람을 설득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논리가 10%정도만 필요하다니… 감정을 철저히 배제하고 논리만으로 설득하려 했던 나의 노력은 그다지 큰 영향이 없었을 거라 생각하니 씁쓸하다.

스몰 토크부터 시작해서 핵심 전달하기, 오해가 발생했을 때 말하기, 설득하는 말하기같이 일상 생활에 필요한 말하기의 전반에 대해서 설명해주셔서 재미있게 들었다. 나의 말하기나 다른 사람의 말하기 등등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수업이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긍정 인생태도로 전환을 돕는 코칭

있는 것을 없다고 하거나 좋을 것을 싫다고 하는 것은 일종의 태도 문제일 수 있습니다. 태도란 어떤 대상을 향한 마음가짐이나 자세를 말합니다. 우리가 세상을 크게 둘로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커리어 코칭 산출물

커리어 코칭은 시각적 혹은 서술적 결과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 다. 커리어 준비 과정은 실제 커리어 실행과 연결된다. 취업이나 이직 등에는 자기 확신이나 자신감이 필요하다. 충분한

보이지 않는 것을 보도록 돕는 코칭

우리가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에 빠지는 이유는 대체로 지각에 의존할 때 그렇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인줄 착각하면 그렇습니다. 그럴 리가 없다, 그런 사람이 아니다는 믿음이 앞서 있으면,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