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처음 예시를 들어주셨던 유럽으로 여행 간 학생의 이야기가 인상 깊었다. 나라면 부모님이 더 이상 갚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셨다면 감사합니다라고 하고 약속을 저버렸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책임을 회피해버리고 이기적으로 행동할 수도 있었을 텐데, 앞으로의 자신과의 약속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게 대단하다고 느껴졌다. 그리고 이후 호감을 얻는 말하기에 대해 설명해주셨다. 그리고 스몰 토크의 주제들, 공감을 얻는 말하기에 대해 설명해주시고, 핵심을 전달하기와 소감을 말하는 방법을 what, why, how를 통해 설명해주셨는데, 말 할 때 요점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굉장히 힘들어했던 나로서는 이 방법을 통해 연습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소통에 오해가 생기는 원인에서 말할 때/들을 때, 의도/표현 표에서 어떻게 오해가 만들어지는지도 알아봤는데, 서로 선한 의도에서 출발한다는 점이 신기하면서도 슬펐다. 선한 의도로 말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텐데, 그런 선한 의도가 표현으로 정확히 연결되지 않아 제대로 전달될 수 없다는 점이 슬펐다. 나는 다른 사람이랑 소통할 때 다른 사람의 표현 때문에 짜증이 났던 적이 꽤 있는데, 그 사람의 의도가 선할 것이라고까지는 생각하지 못해서 그랬었던 것 같다. 나를 많이 돌아볼 수 있었고, 다른 사람이랑 대화할 때 짜증이 난다면, 그 사람의 의도가 뭐였을지 생각해보는 게 나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놀란 건 설득에서 논리보다 감정이 우선시된다는 것이다. 나는 당연히 논리정연하고 깔끔하게 정리된 논리가 사람을 설득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논리가 10%정도만 필요하다니… 감정을 철저히 배제하고 논리만으로 설득하려 했던 나의 노력은 그다지 큰 영향이 없었을 거라 생각하니 씁쓸하다.

스몰 토크부터 시작해서 핵심 전달하기, 오해가 발생했을 때 말하기, 설득하는 말하기같이 일상 생활에 필요한 말하기의 전반에 대해서 설명해주셔서 재미있게 들었다. 나의 말하기나 다른 사람의 말하기 등등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수업이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영화 <어바웃 타임>과 까르페 디엠

​ 호소력 짙고 매력적인 목소리의 주인공, 마룬 5의 란 노래를 듣다가 이런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좋은 순간을 만납니다. 그런데 만약 그런 순간이나 사람을 다시

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수업소감 21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공감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요즘 사회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만 하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수업소감 2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

<다 좋은 세상>을 읽고

전헌선생님의 책을 읽으며 종래와는 전혀 다른 류의 인식변화를 얻게 된다. 경험과학이나 해석학, 행동철학의 한계를 꼬집으며 그 동안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감정의 영역을 깊게 다룬 감정학이라는 또

경험 세계 이전의 앎을 챙기는 코칭

소크라테스는 앎이 왜 좋은 것인지 개의 비유를 통해 설명합니다. 개가 예전에 한 번도 해코지를 당한 적이 없는데 낯선 사람을 보면 사납게 굴고, 반면에 주인이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