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과 활동 6주차 강의 수강신청을 통해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강의를 신청하여 듣게 되었습니다.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고, 인간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는 저에게는 꼭 필요한 유익한 강의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강의에서는 질문하는 법, 상대방에게 감정 표현을 잘 하는 법, 오해 없이 소통하는 법, 설득을 잘 하는 법 등에 대해 자세하게 예를 들어 가며 설명해 주셨습니다. 그동안 다른 사람들에게 내 감정 표현을 잘 하고 있었는지, 올바른 태도와 말투 표정들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었는지 되돌아보게 되었고, 잘 하고 있는 점도 있었지만 고쳐야 할 점도 분명히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사람들에게 내 감정을 적절하게 전달하며 올바른 방법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그 중에서도 공감에 대한 내용은 특히 더 많이 와 닿았던 것 같습니. 기분을 들어주는 것은 마음을 알아주는 것이고 마음을 알아주는 것은 마음을 읽는 것이라는 말이 큰 공감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평소에 저는 다른 사람의 입장에 최대한 공감해 주려고 노력하고 저 또한 다른 사람이 제 마음에 공감해주면 크게 고마움을 느끼는 편이라, 공감에 대한 내용을 더 주의 깊게 들었던 것 같습니다. 사람마다 마음이 모두 다 같을 수는 없지만, 최대한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공감해주는 것이 사람 간의 의사소통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대학을 다니면서 동기들과 선배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나중에 시간이 지나 사회에 나가게 되면 더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고 소통할 기회가 생길 텐데, 그럴 때에도 이번에 배운 말하기의 방법을 유용하게 사용한다면 앞으로 저의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오정근 코치의 질문의 힘] 뭐라고 불러드릴까요?

[한국강사신문 오정근 칼럼니스트] 호기심이 많던 둘째 딸아이가 초등학생이던 어느 날 내게 이렇게 물었다. “목사는 목사님, 신부는 신부님이라고 하면서, 왜 중은 중님이라고 부르지 않아?” 그 질문

수업소감 38

대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처음 겪는 사회생활에 어떤 식으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할 때 소통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세가지의

수업소감 25

일단 기본적으로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들으면서 알게 되었던 말하기 방법 혹은 글쓰는 방법에 대해서 한 번 더 확실하게 정리를 해주는 강의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고전 속에 담긴 코칭의 원리

[불교공뉴스-대전교육] 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감 설동호)은 6월 8일(목) 15:30, 시교육청 대강당에서 에듀-코치와 에듀-코칭 연구·선도학교 교직원 등 220여명을 대상으로 에듀-코칭 보급과 코칭 문화 확산을 위한‘제3회 에듀-코칭 아카데미 특강’을 실시했다.

수업소감 15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

살필 찰(察)과 코칭

찰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관찰, 성찰, 통찰입니다. 아시다시피 찰(察)은 살핀다는 말입니다. ​ 살피기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엄마가 어린 아이 살피기를 잘하듯이 코칭 장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