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있게 말하기 과목은 수강하지 않고 특강만 수강)

비교과 강좌 신청을 통해 글말교실 6회차 강의를 수강하게 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항상 바쁘게 살고 남한테 관심없는 나에게 정신을 차릴 수 있게 되었다. 이 강의에서 우선적으로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지금 약속은 미래의 나와의 약속이다” 라고 말했던 이야기이다. 이 말은 자신은 자신이 믿어야 한다는 내용인데, 나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나는 무언가를 도전하기 전에 극도의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겪곤 한다. 나를 못 믿으며 새로운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 몰라 불신하게 된다. 하지만 이야기에서 누구보다 나 자신을 아는 건 나이며 나를 믿어야 한다는 내용이 나에게 조금이라도 용기를 주었기 때문에 가장 인상이 깊지 않았나 싶다.

더불어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법을 여러가지 배울 수 있어 유익했다.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항상 배려와 예의를 갖춰야 하고 상대를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킬 수 있었고, 첫 대화를 이어 나가기 위해선 호감이 가는 멘트로 첫인상을 좋게 만들어야 하며 질문으로 대화를 시작해야 좋은 말하기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좋은 예시들을 보며 배울 수 있었고 예를 들어 어디로 여행을 갈거냐, 진로가 무엇이냐 라던지 좋은 시작 멘트를 익혔다. 또한 나의 경험이 가장 녹아 있는 상황에 사용하기 좋은 말하기 방법을 배울 수 있었는데 그 방법은 말할 때 자신의 말 표현을 보고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듣자 라는 내용이었다.

고등학교 시절에 항상 날이 서 있는 말투로 의도치 않게 상대방에게 말을 꺼냈고, 때문에 싸움이 일어나는 일이 잦았다. 또한 상대방이 충고나 조언을 하더라도 좋지 않게 들려 비꼬면서 말하기 일수였다. 이러한 경험들이 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가면서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상대의 말에 공감해주는 건 정말 크나큰 힘이 되며, 나 또한 그 힘을 느꼈다. 누군가와 처음 대화를 시작할 땐 소소한 주제로 얘기를 하더라도 공감을 할 수 있는 요소들이 생기면 매우 쉽게 친해지고 돈독해지는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다시 한번 명심을 하게 됐다.

다 듣고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었고 여유를 찾고 주변 친구들과도 이야기를 많이 나누어 소소한 행복을 느끼고 싶다. 유익한 강좌를 통해 얻은 것을 실전에서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며 다른 글말 강좌를 또 신청하려는 의지도 생겼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45

평소 인간 관계에 고민이 많았던 터라 말하기 수업에 흥미가 있었다. 특히 나는 남들에게 공감을 잘 해주지 못하거나 감정 표현에 미숙한 것 같다는 자각이 있어 늘

수업소감 15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

수업소감 23

사람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손뼉의 마찰로 비유한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런 경우가 있을 때 먼저 제 마음을 여는

커리어코칭의 기본 질문

아래 그림은 폴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고. 어디로 가는가?’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이 제목 자체는 우 리에게 큰 울림을 준다. 삶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이기 때문이다.

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

수업소감 47

글말교실 6주차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를 듣고 많은 도움이 됬다. 특히 공감하는 것이 약간 어렵고 나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도 어려웠던 나에게 정말 도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