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있게 말하기 과목은 수강하지 않고 특강만 수강)

비교과 강좌 신청을 통해 글말교실 6회차 강의를 수강하게 되는 계기가 만들어졌다. 항상 바쁘게 살고 남한테 관심없는 나에게 정신을 차릴 수 있게 되었다. 이 강의에서 우선적으로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지금 약속은 미래의 나와의 약속이다” 라고 말했던 이야기이다. 이 말은 자신은 자신이 믿어야 한다는 내용인데, 나의 상황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나는 무언가를 도전하기 전에 극도의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겪곤 한다. 나를 못 믿으며 새로운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 몰라 불신하게 된다. 하지만 이야기에서 누구보다 나 자신을 아는 건 나이며 나를 믿어야 한다는 내용이 나에게 조금이라도 용기를 주었기 때문에 가장 인상이 깊지 않았나 싶다.

더불어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 방법을 여러가지 배울 수 있어 유익했다.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항상 배려와 예의를 갖춰야 하고 상대를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킬 수 있었고, 첫 대화를 이어 나가기 위해선 호감이 가는 멘트로 첫인상을 좋게 만들어야 하며 질문으로 대화를 시작해야 좋은 말하기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좋은 예시들을 보며 배울 수 있었고 예를 들어 어디로 여행을 갈거냐, 진로가 무엇이냐 라던지 좋은 시작 멘트를 익혔다. 또한 나의 경험이 가장 녹아 있는 상황에 사용하기 좋은 말하기 방법을 배울 수 있었는데 그 방법은 말할 때 자신의 말 표현을 보고 상대방의 선한 의도를 듣자 라는 내용이었다.

고등학교 시절에 항상 날이 서 있는 말투로 의도치 않게 상대방에게 말을 꺼냈고, 때문에 싸움이 일어나는 일이 잦았다. 또한 상대방이 충고나 조언을 하더라도 좋지 않게 들려 비꼬면서 말하기 일수였다. 이러한 경험들이 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가면서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상대의 말에 공감해주는 건 정말 크나큰 힘이 되며, 나 또한 그 힘을 느꼈다. 누군가와 처음 대화를 시작할 땐 소소한 주제로 얘기를 하더라도 공감을 할 수 있는 요소들이 생기면 매우 쉽게 친해지고 돈독해지는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다시 한번 명심을 하게 됐다.

다 듣고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었고 여유를 찾고 주변 친구들과도 이야기를 많이 나누어 소소한 행복을 느끼고 싶다. 유익한 강좌를 통해 얻은 것을 실전에서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며 다른 글말 강좌를 또 신청하려는 의지도 생겼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집기양단과 코칭 주제 전환 (1)

3) 집기양단 (순임금의 지혜 중 세번째) 순임금은 집기양단(執其兩端)하는 사람입니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양쪽을 다 취한다는 말입니다. 양단(兩端)이라 함은 한쪽 끝을 잡으면 반대편 쪽 끝을

수동적인 공부에서 벗어나 AI를 직접 체험해보자!

안녕하세요. 저는 오정근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수동적인 공부만으로만 한계에 부딪혀왔다면, 오늘은 AI를 직접 체험해보는 새로운 경험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AI는 우리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점점 더

세상을 즐기며(낙천樂天) 살도록 돕는 코칭

‘TV 세계여행’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다가 감동적인 장면을 만났습니다. 서부 아프리카인 세네갈의 일명 조개섬이라고 불리는 조알 파디우트를 방문한 리포터가 섬사람에게 ‘이 섬에 사는 게 왜 좋은가요?” 하는

존재를 마냥 인정해주는 코칭

개과천선(改過遷善)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아시다시피 ‘잘못을 고쳐서 선해진다’는 뜻입니다. 제가 고전을 공부하다가 깜짝 놀랐던 것 가운데 하나가 이 부분입니다. 바로 개과천선이 아니라 천선개과(遷善改過)라고 나와

좋은 피드백과 더 좋은 피드 포워드 코칭

성과평가를 마치고 나면 성과면담코칭을 반드시 하도록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종의 피드백을 하라는 취지입니다만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고과에 대해 만족해 할 사람은 최고 고과를 받은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코칭

이슈를 지닌 코칭고객들은 자기가 당면한 문제가 해결하려면 내가 아닌 상대방이 변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코치는 이슈 당사자를 만나고 있을 뿐이므로 코칭 장면에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