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통해 지금까지 저의 말하기를 돌아보며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제가 저의 마음을 전하는 말하기를 하는 데 급급해서 상대의 마음을 얻는 것을 놓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타인이 아닌 스스로에게 초점을 두어 말하기를 하다 보니 공감의 방법이나 말의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오해를 낳는 소통 방식이 저의 고민거리 중 하나였는데 강의를 통해 선한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표현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깨달았습니다. 더불어 상대의 말을 들을 때는 선한 의도를 듣고 읽자고 다짐했습니다.

최근 주변 사람들과 대화할 때 부정적인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다 보니 이전보다 친구들과 진솔한 이야기를 하는 범위나 횟수가 확연히 줄어드는 게 느껴졌습니다. 자존감이 낮아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해서 건강하지 못한 표현이 상대에게 고스란히 전해지고 심지어는 격한 표현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강의를 통해 스스로를 먼저 인정하고 사랑할 줄 알아야 타인의 마음도 얻을 수 있기에 ‘나를 사랑하자’는 자기 암시문을 정하여 늘 마음속에 새기며 살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설명이나 소감 등 다양한 말하기 유형에 적용할 수 있는 What-Why-How 말하기 형식에 대한 내용이 인상 깊습니다. 특히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떻게 적용하고 실천할지에 대한 How, 즉 어떻게의 부분이 좋은 말하기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말하기 형식, 전략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선 처리, 표정이 말하기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도 깨달았습니다. 더불어 강의의 내용처럼 인정, 지지, 격려 등 상대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말을 많이 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상대의 마음을 얻는 말하기 방법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방법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 매우 도움이 되는 강의였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살면서 잘 한 일을 꼽는다면?

감사일기 쓰기가 가장 꾸준히 잘 해온 일입니다. 9년째 매일 감사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래 쓰게 된 배경은 두가지인데, 하나는 저와의 원칙을 갖고 시작했었습니다. 오늘의 감사일기

호문호찰과 공감적 경청

​ 『논어』의 가장 마지막 구절이 부지언(不知言)으로 끝을 맺는데, ‘사람의 말을 못 알아들으면 사람을 안다고 할 수 없다’고 했다. 이처럼 말(言)을 알아야 그 사람에 대해 바로

행동이 아닌 본성에 초점을 두는 코칭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런 행동을 사람 자체가 잘못된 사람으로 인식하기 쉽습니다. 행동을 문제 삼고서도 변화가 없으면 “넌 왜 그 모양이냐? 누굴 닮아서 그러냐? 너

수업소감 23

사람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손뼉의 마찰로 비유한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저도 사람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런 경우가 있을 때 먼저 제 마음을 여는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수업소감 44

언젠가부터 타인과 나누는 대부분의 대화가 노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지 않은 변화였다. 모든 대화가 즐겁고 편안할 수만은 없다는 걸 잘 알지만, 문제는 내가 진정으로 사랑하고 세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