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통해 지금까지 저의 말하기를 돌아보며 가장 크게 느낀 것은 제가 저의 마음을 전하는 말하기를 하는 데 급급해서 상대의 마음을 얻는 것을 놓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타인이 아닌 스스로에게 초점을 두어 말하기를 하다 보니 공감의 방법이나 말의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오해를 낳는 소통 방식이 저의 고민거리 중 하나였는데 강의를 통해 선한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표현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깨달았습니다. 더불어 상대의 말을 들을 때는 선한 의도를 듣고 읽자고 다짐했습니다.

최근 주변 사람들과 대화할 때 부정적인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다 보니 이전보다 친구들과 진솔한 이야기를 하는 범위나 횟수가 확연히 줄어드는 게 느껴졌습니다. 자존감이 낮아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해서 건강하지 못한 표현이 상대에게 고스란히 전해지고 심지어는 격한 표현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강의를 통해 스스로를 먼저 인정하고 사랑할 줄 알아야 타인의 마음도 얻을 수 있기에 ‘나를 사랑하자’는 자기 암시문을 정하여 늘 마음속에 새기며 살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설명이나 소감 등 다양한 말하기 유형에 적용할 수 있는 What-Why-How 말하기 형식에 대한 내용이 인상 깊습니다. 특히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떻게 적용하고 실천할지에 대한 How, 즉 어떻게의 부분이 좋은 말하기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말하기 형식, 전략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선 처리, 표정이 말하기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도 깨달았습니다. 더불어 강의의 내용처럼 인정, 지지, 격려 등 상대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말을 많이 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상대의 마음을 얻는 말하기 방법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방법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 매우 도움이 되는 강의였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서편제의 한과 천년학의 비상 -오정근코치

이청준님의 ‘남도사랑’ 소설 책에는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한 ‘서편제’와 ‘선학동 나그네’가 담겨 있다. 책은 ‘서편제’에서 시작하여 ‘소리의 빛’을 거쳐 ‘선학동’으로 이어진다. 세 개의 단편작품들은

코칭에서 존재와 존재감

제가 존경하는 코치선배님의 특강을 들으며 코치다움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 바를 적어봅니다. 그 분은 “코치로서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 물음에 「청소부 밥」에 나오는

생각 잘하는 방법서

철학과 코칭은 지혜를 다루며, 존재와 인식을 다루는 공통점이 있다. 「오정근의 감정코칭」책은 퇴계 이황과 스피노자의 감정 철학을 토대로 감정의 본질과 인간의 마음 구조를 탐구한 책이다. 감정의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감사일기를 9년 넘게 써온 소감은?

저에게 좋으니까 사람들에게 권하게 됩니다. 제가 깨달았던 경험을 나누면서 했던 말들이 생각납니다. 첫째, 감사는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 느끼는 것이다. 감사일기를 쓰기 시작한 초기

터놓고 말하고 싶은 주제는 무엇인가요?

코칭의 구분 코칭은 크게 비즈니스 코칭과 라이프 코칭으로 구분합니다. 쉽게 말하면 비즈니스 코칭을 의뢰하고 비용을 지급하는 대상이 회사이고 라이프코칭은 개인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다루는 주제가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