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이전부터 항상 해오던 고민이 있다. 바로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공감을 하면서 내 마음을 상대방에게 온전히 전달하여 상대방의 마음을 얻고 설득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서이다. 또한 상대방이 말할 때 내가 이 말을 완벽하게 공감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내가 자신의 이야기를 공감하고 있음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일단 내가 다른 사람에게 말할 때 다른 사람의 공감을 살 수 있는 방법으로는 바로 메타인지 말하기가 있다. what why how 기법으로 말하는 것이다.

자말 시간에도 교수님과 함께 수없이 연습한 경험이 있다. 사실 처음에 교수님께서 이러한 기법으로 말하라고 하셨을 때 과연 이러한 기법으로 말하면 효과가 있을까?라는 의문이 존재했었다. 하지만 발표를 하면서 실제로 이 기법을 사용하니 내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의 반응만 보더라도 메타인지 말하기를 사용하기 전보다 사용했을 때의 청자들의 반응이 훨씬 좋았고 내 이야기에 훨씬 더 공감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대방의 이야기에 내가 잘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리액션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았다. 나도 여러 발표 수업을 진행하면서 발표를 하고 난 뒤 기분이 좋을 때와 기분이 좋지 않을 때가 존재했다. 과연 같은 발표를 해도 기분이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고민을 해보니 기분이 좋았을 때는 상대방이 내 이야기에 크게 크게 리액션을 해주면서 내가 지금 너의 이야기에 집중을 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였을 때였고 기분이 좋지 않았을 때는 상대방이 내가 이야기를 하더라도 듣는둥 마는둥 하면서 아무런 반응 없이 내 이야기르 넘겼을 때였던 것 같다. 이러한 나의 경험에 빗대어 나도 앞으로 다른 사람의 말하기를 들을 때 내가 지금 너의 이야기를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리액션을 해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바로 자각과 자기성찰을 돕는 과정입니다. 그 결과 고객이 자기인식의 전환을 맛보게 되면 내심 변화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됩니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이 이런 전환을 느껴야 스스로

코치다움과 코칭다움

나는 코치다운가? 이런 질문을 해보며 두 가지 상황을 생각해보게 됩니다. 하나는 코치라는 모자를 썼을 때이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을 때입니다. 코칭을 하러 기업에 가면 사람들이

순임금의 지혜탐구 방법과 코칭

코칭고객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정답을 제공하는 컨설팅과 달리 코칭은 코치의 질문에 의해 코칭고객 스스로 최적의 답을 찾아내어 실천하도록 돕는 지혜를 다루는 대화과정입니다. 학문이라는 뜻은 원래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3)

세 번째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감사를 부른다는 것이다. 신학기가 되어 학생들에게 혹은 어떤 단체 모임에서 자기 소개를 할 때가 생깁니다. 그 때마다 저는 저의

판매현장에서 질문의 힘(2)

경우의 수를 구분하여 질문함으로써 상대방이 자기생각을 점검하도록 하는 질문법도 좋겠습니다. == 엄마와 딸이 휴대폰 매장에 방문하여 딸이 최신형 휴대폰을 만지작거립니다. 판매사원이 딸에게 묻습니다. “이걸로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