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데, 크게 걱정한 것은 아니었지만 꽤 신경 쓰이는 부분이었다. 할 말이 빠르게 생각나지 않을 때마다 스스로 나의 말하기 능력을 낮게 평가할 때가 있었다. 그리고 나까지도 대화 중에 질문에 바로바로 답하지 못하는 사람에 대해 ‘대화 주제에 관심이 없어서 그런가, 나랑 말하기 싫어서 그런가’ 하고 혼자서 판단했던 경험이 있었다. 그래서 오늘 강의 중에 대답을 바로 하지 못하는 것은 좀 더 깊게 생각하고 말을 하는 것일 뿐이라고 하신 덕에 나도 모르게 위로가 되었고, 반성을 하게 되었다.

단점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서 배웠다. 단점이 단점이 된 것은 내가 나의 성격 중 하나를 나쁘게 바라봤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앞으로 나의 좋지 않아 보이는 성격을 발견하게 된다면, 그것을 무조건 나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성격을 가지는 이유가 선한지를 판단해볼 것 같다. 어떤 것을 더 챙기느라 다른 쪽에 소홀할 수 있고, 누군가를 배려하느라 일을 수행하는 것이 느려질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이기 때문에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고, 남에 대한 그리고 나에 대한 욕심을 더 내려놓을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남이 나에게 마음을 주는 것만을 기대하는 것이 아닌 내가 먼저 나에게, 내가 먼저 남에게 마음을 줄 수 있는 현명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렇게 되기 위해 공감과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서 좀 더 상대의 입장을 살피려는 노력을 해야겠다.

다른 곳에서는 듣기 어려울 내용들을 오늘 강의를 통해 배울 수 있게 되어서 기쁘다. ‘말을 하는 방법’은 이론적으로는 직접 배우는 데 한계가 있을 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차근차근 예를 들어 설명해주시니 내가 당장이라도 말을 더욱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기분이 들었다.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내용들을 배워 유익한 시간이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다 좋은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 다 좋은 세상은 평천하를 이루는 세상이다. 내 감정이 평안해지면 그것이 곧 평천하다. 내가 변하면 세상은 이미 변한 것이다. – 다 좋은 세상은 너와 내가 소중한 세상이다. 하나라도 없으면 우주에

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수업소감 6

강의를 시작하실 때 1학기동안 들었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새록새록 생각났습니다.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이 힐링 수업인 이유가 ‘이론수업을 통해서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마음을

앎을 다루는 감정코칭

코치 : 그래서 정말 화가 많이 나셨던 것이군요. 코칭고객 : 예. 그렇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서 아시겠지만,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데 제가 화가 안 날

감사일기를 9년 넘게 써온 소감은?

저에게 좋으니까 사람들에게 권하게 됩니다. 제가 깨달았던 경험을 나누면서 했던 말들이 생각납니다. 첫째, 감사는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 그때 느끼는 것이다. 감사일기를 쓰기 시작한 초기

수업소감 25

일단 기본적으로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들으면서 알게 되었던 말하기 방법 혹은 글쓰는 방법에 대해서 한 번 더 확실하게 정리를 해주는 강의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