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분이 넘는 짧지 않는 강의였음에도 대부분이 내가 살아가며 말하고 행동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태도를 알려 주는 아주 유용한 정보들이었다. 특히 내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구절은 선하게 바라보면 선해진다는 것이다.

특강에서 예시를 든 것이 있다. “저 깨워 달라고 했는데 왜 안 깨워 줬어요?” 이 말은 수험생 때 내가 엄마한테 진심으로 짜증냈던 유일한 부분이자 가장 스트레스 받았던 부분이다. 나를 생각하고 사랑하는 마음에 차마 깨우지 못하고 조금이라도 더 재우려고 했던 엄마의 마음을 왜 그때는 보지 못했을까? 다시 돌아간다면 엄마한테 엄마가 날 깨우기 힘들어하는 마음을 다 이해한다고, 하지만 나는 내가 못 일어나서 내가 생각했던 공부의 분량을 못하는 게 너무 스트레스라고 내 입장을 더 자세히 말씀드릴 것이다.

누군가의 말을 선하게 바라보기, 이것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얻는 말하기의 첫 단계일 것이다. 최근에도 그렇고, 나는 그동안 누군가의 말의 의도를 너무 날카롭게 받아들이고 그것에 상처 받은 걸 더 날카롭게 말함으로써 풀었던 적이 많다. 내가 상처를 받았으니 너는 얼마든지 더 받아야 돼, 라는 정말 이기적이고 못된 심보였다. 사실 알고 보면 사람들은 그 의도가 아니었는데 말이다. 의도를 선하게 받아들이는 건 관계를 이어나감에 있어 제일 중요한 것이다. 이것을 마음에 잘 새기고 관계 형성에 있어 제일 우선으로 두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이것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것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생의 마지막 날에 무슨 말을 남길 것인가?

가족에게는 “부족하여 미안하고, 참아주어 고맙다.”는 말을 할 것 같고, ​ “나는 육체의 옷을 벗게 되어 홀가분하다. 이제 영혼을 가꿀 수 있게 되어 너무 좋다. ​

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

좋은 피드백과 더 좋은 피드 포워드 코칭

성과평가를 마치고 나면 성과면담코칭을 반드시 하도록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종의 피드백을 하라는 취지입니다만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고과에 대해 만족해 할 사람은 최고 고과를 받은

당신에게 행복은 어떻게 다가오나요?

내게 행복을 전해주는 주체는 ‘나’입니다. 왜냐하면 행복은 내 안에 있고 나 스스로 꺼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행복이 다가와도 내가 인식하지 못하면 행복감에 머물지 못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