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 그런 얘기 해주셨지 하면서 리마인드도 했습니다. 교수님께 가장 먼저 배웠던 What-Why-How. 제 말하기를 정말 많이 바꿔놨습니다. 그 전까지 두서없이 횡성수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건 많은데 목에 턱 막혀 나오지 않았던 말들이 What Why How 라는 큰 틀을 생각하면서 말하면 깔끔히 정리되어 입 밖으로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았던 말하기 방법이라 힘들었습니다. 나는 What Why How를 제대로 써서 말한 것 같은데 교수님이 이런이런 부분에서 잘 느껴지지 않았다라고 피드백을 해주신 적이 있었습니다. 그 피드백에서 저는 말하기는 말하는 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듣는 상대가 중요한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말하기는 상대방에게 내 뜻을 전하고 이해시키는 것인데, 그동안 너무 내 말만 번지르르하고 멋있게 포장하기만 급급했던 것입니다.

말하는 방법이 달라졌을 뿐만 아니라 공감도 늘었습니다. 공감=기분듣기=마음 알아주기=마음 얻기 라는 교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수업 초반에 소회의실 활동이 있었습니다. 잘 모르는 학우 랜덤으로 4명이서 모여 주제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었는데 분위기를 끌어올리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이 바로 공감이었습니다. 상대방이 무슨 이야기를 할 때 잘 경청했다가 그에 맞게 공감을 해주면 상대방은 내 얘기를 잘 들었구나 라고 생각하며 그 뒤 이야기를 편하게 이어나갈 수 있었습니다. 공감을 할 때 효과가 배가 되는 것이 바로 몸짓과 말의 높낮이였습니다. 그냥 말로만 공감을 해주는 것보다는 놀란 표정을 지으면서 높은 목소리로 상황에 맞는 공감을 해주는 것이 훨씬 효과가 좋았고 상대방도 더 좋아하는 것 같았습니다.

특강 중 설득의 대한 말하기가 있었습니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다 라는 것을 미리 알았더라면 더욱 좋은 말하기가 되었을 텐데 아쉬웠습니다. 사람들은 이익 추구 심리와 손실 회피 심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좋은 설득이 될 것 같습니다.

수업 때 마다 한 명씩 피드백 해주시고 진심으로 학생들을 대해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말하는 자신감도 얻어가고 교수님이 알려주신 가르침으로 사회생활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소감 24

마음을 얻는 말하기가 무엇인지 깊게 생각해볼 수 있는 특강이었다. 쉽게 말을 먼저 걸지 못하는 나를 돌아볼 수 있었고, 첫인사와 첫인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수업에서 배우고

선한 의도 읽기로 인식을 전환하는 코칭

「대학」 책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라는 말이 나옵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중 평천하라는 말 뜻을 풀이한 내용을 보면 윗사람 모시면서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좋은 피드백과 더 좋은 피드 포워드 코칭

성과평가를 마치고 나면 성과면담코칭을 반드시 하도록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종의 피드백을 하라는 취지입니다만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고과에 대해 만족해 할 사람은 최고 고과를 받은

커리어 코칭 모델

​ 커리어 코칭 모델은 주요 요소뿐 아니라 코칭 전개의 프로세스 와도 밀접한 연결성을 보여준다. 1. Love myself.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분석 2. Love

<다 좋은 세상>을 읽고

전헌선생님의 책을 읽으며 종래와는 전혀 다른 류의 인식변화를 얻게 된다. 경험과학이나 해석학, 행동철학의 한계를 꼬집으며 그 동안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감정의 영역을 깊게 다룬 감정학이라는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