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고 이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을 들었습니다. 특강에서 우리들이 수업시간에 했던 답변이 나왔던 것이 굉장히 신기했고 아~ 그 때 교수님이 그런 얘기 해주셨지 하면서 리마인드도 했습니다. 교수님께 가장 먼저 배웠던 What-Why-How. 제 말하기를 정말 많이 바꿔놨습니다. 그 전까지 두서없이 횡성수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건 많은데 목에 턱 막혀 나오지 않았던 말들이 What Why How 라는 큰 틀을 생각하면서 말하면 깔끔히 정리되어 입 밖으로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았던 말하기 방법이라 힘들었습니다. 나는 What Why How를 제대로 써서 말한 것 같은데 교수님이 이런이런 부분에서 잘 느껴지지 않았다라고 피드백을 해주신 적이 있었습니다. 그 피드백에서 저는 말하기는 말하는 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듣는 상대가 중요한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말하기는 상대방에게 내 뜻을 전하고 이해시키는 것인데, 그동안 너무 내 말만 번지르르하고 멋있게 포장하기만 급급했던 것입니다.

말하는 방법이 달라졌을 뿐만 아니라 공감도 늘었습니다. 공감=기분듣기=마음 알아주기=마음 얻기 라는 교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수업 초반에 소회의실 활동이 있었습니다. 잘 모르는 학우 랜덤으로 4명이서 모여 주제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었는데 분위기를 끌어올리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이 바로 공감이었습니다. 상대방이 무슨 이야기를 할 때 잘 경청했다가 그에 맞게 공감을 해주면 상대방은 내 얘기를 잘 들었구나 라고 생각하며 그 뒤 이야기를 편하게 이어나갈 수 있었습니다. 공감을 할 때 효과가 배가 되는 것이 바로 몸짓과 말의 높낮이였습니다. 그냥 말로만 공감을 해주는 것보다는 놀란 표정을 지으면서 높은 목소리로 상황에 맞는 공감을 해주는 것이 훨씬 효과가 좋았고 상대방도 더 좋아하는 것 같았습니다.

특강 중 설득의 대한 말하기가 있었습니다.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먼저다 라는 것을 미리 알았더라면 더욱 좋은 말하기가 되었을 텐데 아쉬웠습니다. 사람들은 이익 추구 심리와 손실 회피 심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좋은 설득이 될 것 같습니다.

수업 때 마다 한 명씩 피드백 해주시고 진심으로 학생들을 대해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말하는 자신감도 얻어가고 교수님이 알려주신 가르침으로 사회생활도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인식오류를 바로잡는 코칭

​ 피터 드러커는 라는 책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지식사회와 지식경제로 이동하게 되었는가?’ 하고 질문합니다. 그리고는 사람들이 “일이 더 복잡 고도화되기 때문이다,”고 하는 답을 듣고는 틀린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사람에게 낚여서 우연한

코칭의 효과

공부의 효과나 코칭의 효과는 같다. 공부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유학의 고전인 은 공부의 효과를 파악하는 3가지를 소개했다. 바로 “밝아졌나?” “새로워졌나?” “좋은 상태에 머무 나?”다. 코칭을 마치고

집기양단으로 코칭주제 전환(2)

이상은 양단(양쪽 끝)을 잡아서 이야기한 사례입니다. 수업 중 대놓고 조는 학생을 형편없는 학생으로 보는 것은 왜곡된 시각일 수 있습니다. 대놓고 졸았다고 판단하는 것은 나 중심

판매현장에서 질문의 힘(2)

경우의 수를 구분하여 질문함으로써 상대방이 자기생각을 점검하도록 하는 질문법도 좋겠습니다. == 엄마와 딸이 휴대폰 매장에 방문하여 딸이 최신형 휴대폰을 만지작거립니다. 판매사원이 딸에게 묻습니다. “이걸로 하시겠습니까?”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