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말특강을 듣고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한 학기 동안 배운 내용이 상기 되었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나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꿔서 설명해주시는 교수님의 말씀과 학생들의 감동적인 이야기가 많은 생각을 하게 하였다. 어머니에게 돈을 빌려 여행을 다녀 온 뒤 아르바이트로 끝까지 돈을 갚는 학생의 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자기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어머니의 만류에도 돈을 갚는 학생이었다. 나라면 그렇게 하지 못했을 것 같다. 그전에 나 역시 군 전역 후 남는 시간 동안 여행이라도 다녀올 걸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 때는 시간을 허투루 사용했던 것 같다.

또한, 리액션과 피드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발표할 때 비록 노트북 화면이지만 내가 말을 하는 도중에 고개를 끄덕여주고 웃어주고 반응하는 학우님들이 있다. 발표할 때 자신감이 생기고 기분이 좋아진다.

자말 수업에서 피드백을 선물이라고 한다. 상대방의 잘한 점을 칭찬해주고 부족한 점을 기분이 나쁘지 않게 말해주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 칭찬을 들으면 기분이 굉장히 좋고 발표에 자신감이 생긴다. 개선할 점을 알려주면 내가 평소에 몰랐던 나의 안 좋은 습관을 알 수 있고 다음 발표 때 그것을 안 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업 소감 1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코로나와 관련하여

Q. 코로나가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건 어떤 부분인가요? 온리인으로 강의를 하게 되면서 디지털 스킬이 늘었고, Covid 19 덕분에 미래교육 환경을 미리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성의가 잘 드러나도록 돕는 코칭

아마 격물치지라는 말과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대학」 책에는 ‘격물 치지’ 와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라는 단어 사이에 ‘성의’와 ‘정심’이란 단어가 위치합니다. 이 8가지를 합하여

코치의 철학과 코칭의 원리

수업참여 소감은 프로그램 소개 아래에 있습니다. ​ 수업은 Zoom으로 진행이 되었고 37명의 코치님이 참석하셨는데 마치면서 수업 소감을 아래와 같이 작성해주셨습니다. ​ – 오늘 좋았던 걸

수업소감 37

이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수업이어서 낯을 많이 가리는 나에게 매우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또, 이런 내용의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수업을

영화 <미나리>를 통한 깨달음

미나리는 아무 데서나 잘 자란다. 미나리는 김치를 해 먹어도 좋고 찌개에 넣어 먹어도 되고 국에 넣어 먹어도 좋다. 미나리라는 영화는 70~ 80년대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