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있게 말하기 강의에서도 잠깐 들었던 내용을 더 자세히 들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군대에서 배울 점이 많았던 선임. 후임도 생각이 났습니다. 제가 통신병으로 있을 때, 저는 제가 너무 못미더웠었는데 간부님들과 선임들이 저를 신뢰를 주었던 게 큰 힘이 되었었는데 그 때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였습니다.

말을 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감정표현으로 시작하는 힘이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저도 돌이켜 보았을 때 “재미있었어”와 같은 단어보다는 “정말 마음이 떨리게 재미있었어”와 같이 얘기했을 때 조금 더 풍부한 표현으로 좋은 이미지를 남길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small talk 얘기 중에서 수업시간에 배웠던 커다란 집 – 황금문패 ~ 자격증 책이 생각이 나면서 호감이 가는 ice breaking도 생각이 났습니다. 공감능력에 관해서도 크게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친구와도 얘기할 때 아무런 생각없이 끄덕이는 것보다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말하고 같이 공감해주었을 때 정신적인 교감이 긍정적으로 다가왔고,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이 맞듯이 정말 같이 있을 때 얘기하며 나누는 말들이 헛되이지 않았음을 느꼈던 경험이 생각났습니다.

그리고 제가 말할 때는 what why how 순서대로 말하려고 노력하진 않았던 것 같은데 수업시간에서 경험해 봤을 때 제가 말하고자 하는 말이 명확하게 들릴 수 있는 기법임을 알 수 있었던 게 생각났습니다.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로 친구와 말을 할 때 친구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다퉜던 경험이 있는데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고 제가 말할 때는 표현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에 정말 끄덕이게 됐습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말은 그게 아니였는데 표현이 잘못되어서 전달이 이상하게 됐을 때 억울한 점이 있었고 또 친구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해서 서먹해진 사건이 생각납니다.

수업시간에서는 설명, 주장, 면접, 설득 등에서 다양한 기법들이 있었는데 곰곰히 따져보면 맞는 말인데 인식의 전환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설득에서도 득실기법과 같은 기법을 제가 사용하여 설득하기 발표에서 투표를 하러가자와 같은 설득을 해봤던 경험이 있는데, 득실 기법을 통해서 단순하게 끌어내는 설득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듣는 이가 득과 실을 듣고 좋게 판단하여 이끌어낼 수 있는 이러한 방법들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 좋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또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자신의 이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감과 이해를 하면서 상대방과의 대화에서 호흡을 맞춰가는 것이 얼마나 좋은 대화방법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오해만 쌓여가는 경우도 많고 상대방의 마음을 얻는 다는 것이 정말 어려운 일인데, 여태껏 수업으로 배워왔던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번 정리하며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앞으로 사회에 나가서도 정말 크게 써먹을 수 있는 방법들을 배워가서 행복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감사일기를 9년째 써온 소감(2)

두 번쩨로 새롭게 깨달은 것은 감사는 당연했던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저는 그동안 제 힘으로 사는 줄 알았습니다. 세상 돌아가는 모든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왔지

한계를 돌파하도록 돕는 코칭

어느 날 염구라는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가르침이 싫어서가 아니라 제가 실행하기에 역부족(力不足)인가 봅니다”라고 합니다. 이 말을 듣자 공자가 한 마디 합니다. “힘이 부족한 사람은 해보다가

수업소감 49

대화를 하다보면 공감하기 힘들거나 맞장구 쳐주기 힘든 경우나 처음 만난 사이에 무슨 말을 하야할 지 고민이 되는 순간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 강의를 보고나서 굳이 무슨

코칭에서 다루는 것은 본(本)

# 리더 : “코치님, 구성원이 저를 잘 따르지 않는데 이럴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코치 : “그 문제가 해결되면 팀장님에게 무엇이 좋아지나요?” 리더 : “불편한

수업소감 43

교수님이 말씀해주신 마음을 여는 말하기들의 예시들의 주체가 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여서 그런지 저도 쉽게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수업 중 ‘설득은 논리보다 감정이

가정(If)질문을 활용한 인식전환

​ 리더십코칭이나 라이프 코칭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는 대인관계에 관한 것입니다. 마음이 안 통하거나 소통이 잘 안되다는 것인데, 사실과 사실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