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내 성격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고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많이 했다. 이번 특강을 듣고 나서 꼭 그렇게 여기지 않아도 되겠다고 생각했다. 말을 잘 못하더라도 이번 특강에서 배운 내용들을 잘 알고 적용한다면 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

첫 번째로 말을 많이 하지 않더라도 잘 들어주기만 해도 좋다는 것을 배웠다. 그리고 내가 지금까지 부족했던 것이 듣는 태도였다는 것도 깨달았다. 그동안 나는 대화를 할 때 말도 많이 안하면서 상대방의 말에 공감을 잘 못했던 것 같다. 앞으로는 들어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하는 말에 공감하며 들어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더 나아가 마음의 문을 열고 먼저 다가간다는 마음가짐으로 시작해야겠다.

두 번째로 공식적인 발표 자리에서 어떻게 말하는 것이 핵심을 잘 전달할 수 있는 것인지 배웠다. 주제를 먼저 알리고 배경, 중요성, 실천 방법 순서대로 알리는 것이 그 순서였다. 사실 이 과정은 이번에 들은 ‘자신있게 말하기’수업에서 많이 연습했던 내용이었다. 다른 수업에서 발표를 할 때도 이번에 배운 What-Why-How 순서를 잘 살려서 발표하니까 발표하는 입장에서도 정리가 잘 되었고 청중들도 이해가 쉽게 되는 것 같다.

세 번째로 상대를 설득하는 말하기를 할 때 논리도 중요하지만 감정에 호소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내용을 배웠다. 설득할 때는 아무도 반박할 수 없는 객관적인 근거와 논리가 100%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논리는 10%, 감정이 30%, 인품이 60% 작용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 인상 깊다. 내가 설득을 당할 때 상대방이 호소하는 감정에 많이 움직였던 것을 생각하면 공감되는 말이다. 스스로 논리가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에 힘들었는데 감정을 섞어서 말하면 된다고 하니 조금은 안심이 되었다.

특강을 듣고 공감의 중요성, What-Why-How방식 그리고 설득할 때의 유의점에 대해서 배웠다. 배운 내용들을 잊지 않고 잘 새겨서 자신있는 말하기 생활을 실천하겠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다 좋은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 다 좋은 세상은 평천하를 이루는 세상이다. 내 감정이 평안해지면 그것이 곧 평천하다. 내가 변하면 세상은 이미 변한 것이다. – 다 좋은 세상은 너와 내가 소중한 세상이다. 하나라도 없으면 우주에

수업소감 14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모두 다 듣고 나니 이전 수업 내용 리뷰하는 느낌도 들어서 좋았습니다. 믿자명친! 이전에 수업들을 땐 뭐 저런걸 하나…. 저런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에너지 저장소에 모인 아이들.

 “여기에 저에 대해 좋은 말을 써 주세요.”명찰을 보니 혁이었다. 청소년 비전캠프에 도착하자마자 키가 제법 큰 중학생이 불쑥 꺼낸 말이었다. 갑작스런 요청에 살짝 당황했으나 아이의 요구가

터놓고 말하고 싶은 주제는 무엇인가요?

코칭의 구분 코칭은 크게 비즈니스 코칭과 라이프 코칭으로 구분합니다. 쉽게 말하면 비즈니스 코칭을 의뢰하고 비용을 지급하는 대상이 회사이고 라이프코칭은 개인이라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다루는 주제가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