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글말특강을 듣고 난 후 나는 자신있게 “YES”라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평소 나는 조형대학교를 다니며 매 학기 자주 있는 발표와 프로젝트에 말하기에 자신이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한 학기동안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수강하고 오늘 특강을 들으며 내가 내 얘기를 하기에 급급했고 마음을 얻는 말하기에는 조금 부족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강의를 들으면서 좋은 점은 나의 부족한 점을 지적의 방법이 아닌 피드백을 통해 스스로 얻게하고 그 부족한 점을 좋은 점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기존에 나는 발표가 나의 작품과 생각 등을 전달하는 것이니 긴장하지 말고 내 머리속에 있는 것만 잘 전달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이 특강을 듣고 발표는 마음을 전달하는 것보다도 마음을 얻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 인상 깊은 것은 말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심이 되고 믿음을 주는 가까운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돌이켜보니 나도 그런 경험이 있었다. 상대방은 나와 친해지고 싶은 것 같은데 각종 질문과 관심이 공격적으로 들어오니 오히려 심리적으로 불편하고 쫓기는 듯한 기분이 들어 질문에 바른 대답을 할 수 가 없었다. 어쩌면 그때 나에게 말을 걸어준 상대방이 조금 더 나의 이야기를 들어주려고 하고 믿음을 주는 사람으로 다가와줬다면 더 친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나도 때로는 다른 사람에게 나의 마음만 전달하려고 하는 공격적인 사람이 아니었을까 반성하게 되었다.

최근 스몰토크, 아이스브레이킹, 플러팅 등등 대화와 관련된 각종 용어의 사용이 유행이었던 적이 있었다. 어쩌면 코로나가 시작되고 온라인과 비대면 생활이 시작되며 대화의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줌을 통해 사람을 만나고 시공간을 가리지 않고 이야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이 생겼음에도 사람들은 눈을 마주치고 대화하는 것에 갈증을 느낀다. 나 또한 그에 갈증을 느끼던 중이었는데,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을 수강하며 그 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비록 줌으로 만난 것은 아쉽지만, 기존에 줌으로 사람을 만나던 것과는 다르게 눈을 마주치듯 이야기하고 내 이야기를 하기위해 미리 시간을 쓰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하던 순간은 나에게 너무 소중한 순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시간이 조금 더 흐른다면 오늘 특강에서 배운 이야기들을 늘 마음에 새기며 모니터를 통해서만 눈을 마주치는 것이 아닌 진짜 숨결을 느끼며 함께 학우들과 이야기 해보고 싶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존재를 알아주는 동기부여 코칭

코칭이나 티칭이나 리더십이나 공통적인 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입니다. 사람의 기운을 살아나게 하는 것을 흔히 동기부여라고 합니다. 사람을 살리는 마음을 한자로 생물지심(生物之心)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인(仁)

가장 빈번히 느끼는 감정은?

단연코 감사입니다. 야구는 인생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재미 있습니다. 왜냐하면 둘 다 ‘집에서 출발해서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제가 저 혼자만의 힘으로 집으로 돌아오거나 밥을

수업소감 17

오정근 교수님의 글말 교실 강의를 듣고 자신있게 말하기에서 소개해주신 방법이 상기되어서 좋았습니다. 학기 마무리 부분에서 복습하는 느낌도 들고 다시 머릿속으로 들어오니까 정말 그렇구나라는 느낌과 함께

살면서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죽을 뻔 했네” “오래 사세요” 하는 말은 내가 사는 세상이 좋은 세상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우리는 억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

수업소감 10

저는 낯을 별로 가리지 않고 어색한 분위기를 싫어하지만 말주변이 뛰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상대가 이야기를 하면 경청을 하는 편입니다. 오늘도 마침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자리를 함께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