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만 보지 말고 속을 보자’라는 문구가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상대방과 대화를 할 때 내가 불편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선하게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한 일임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교수님이 예시로 들어주신 어머니와의 대화에서 “깨워달라고 했는데 왜 안깨워줬어요?”와 같은 상황은 학창시절 저와 저희 어머니의 대화였습니다. 저는 무작정 어머니께 다음 날 일찍 깨워달라고 했는데 왜 안깨워주셨냐. 어머니 때문에 지각하게 생겼다. 라며 늦게 깨운 것에 대해 짜증을 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생각해보니 어머니께서는 전 날 제가 늦게까지 독서실에서 있다가 온 것을 아셨는지 조금이라도 더 자라며 늦게 깨우신 것이었습니다. 어머니께서는 제가 좀 더 자길 바라는 선한 마음에서 저를 늦게 깨우신 것이었습니다. 조금만 더 상대방의 의도에 대해 생각해보면 선한 의도를 읽을 수 있고 갈등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친구들이나 동료, 다른 사람들과의 갈등이나 문제 상황에서도 이는 비슷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내가 언짢다고 생각했거나 불편했다고 생각했던 일을 되돌아보고 상대가 어떤 의도로 그 행동을 했을까를 생각해 본다면 선한 본질을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코칭에서 다루는 것은 본(本)

# 리더 : “코치님, 구성원이 저를 잘 따르지 않는데 이럴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코치 : “그 문제가 해결되면 팀장님에게 무엇이 좋아지나요?” 리더 : “불편한

수업소감 42

상대방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말하기에 대한 강의였다. 평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고민이 많은 상태였기에 정말 도움이 되는 강의였다. 특히 상대방과의 대화 방법에 대한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고전 속에 담긴 코칭의 원리

[불교공뉴스-대전교육] 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감 설동호)은 6월 8일(목) 15:30, 시교육청 대강당에서 에듀-코치와 에듀-코칭 연구·선도학교 교직원 등 220여명을 대상으로 에듀-코칭 보급과 코칭 문화 확산을 위한‘제3회 에듀-코칭 아카데미 특강’을 실시했다.

10년 후 어떤 모습이면 좋을까?

‘다 좋은 세상’이라는 인문철학과 코칭을 함께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고 싶습니다. 각자 자기 삶을 이야기하면서 지혜와 사랑을 확충하는 학당을 운영하여 누군가에게 기여하는 삶에 기여하고, 세계시민정신으로 살아가는

수동적인 공부에서 벗어나 AI를 직접 체험해보자!

안녕하세요. 저는 오정근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수동적인 공부만으로만 한계에 부딪혀왔다면, 오늘은 AI를 직접 체험해보는 새로운 경험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AI는 우리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점점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