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초반에 교수님께서는 ‘상대 마음을 얻는 것이 쉬울까,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쉬울까’에 대한 질문을 하셨다. 나는 내 마음을 주는 것이 조금 더 쉽겠지만 이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항상 마음 속으로는 사람들이 먼저 내게 마음을 열어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내가 표현을 하지 않으면 상대는 나의 마음을 모른다. 내가 표현을 하게 된다면 상대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커진다. 그런 마음이 절실하다면 이미 1/3은 성공한 것이며, 열린 마음으로 자신의 마음을 상대에게 주면 또 1/3은 성공한 것이다. 진실된 마음으로 상대에게 다가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자신에게 성실히 대하면 나머지 1/3이 성공하여 100%성공한 것이라고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셨다. 나는 너무 상대가 나에게 맞춰주기를 바랬던 것 같다. 내가 먼저 다가가는 것이 한 결 더 편하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 나는 내 마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법과 어떻게 해야 상대에게 내 마음을 잘 표현할 수 있는지 배우기로 했다.

상대에게 마음을 주는 방법, 내 마음을 진실되게 받아들이는 것. 정말 말은 쉽지만 어려운 것 같아 보였다. 상대에게 마음을 주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처음은 첫인상으로 시작했다. 표정이 좋아보인다, 활기차보인다, 편해보이고 인상이 친근하면서 밝다 등의 이야기를 먼저 건내는 것이 좋다고 말씀해주셨다. 주변 사람에게 리액션이나 공감, 지지, 격려, 응원 등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공감을 잘하는 것이 키 포인트라고 하셨다. 공감을 잘하려면 감성적 표현도 잘하고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호감이 가는 말로 상대방에게 먼저 다가가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았다. 인정을 하거나 격러, 칭찬, 응원, 축하, 지지 등의 말로 다가가면 사람들도 나에게 쉽게 마음의 문을 열 수 있구나 라는걸 안 것 같다. 내가 저 이야기들을 들으면 사람들에게 호감을 느꼈었는데, 상대방도 같을 것이다. 당연한 것이지만 내가 미처 나의 입장만 생각하고, 간과하고 있었던 내용이었다.

자신있게 말하기 수업에서 what-why-how순서로 말하는 법을 배웠었는데 여기서도 말하는 순서가 중요하다고 말씀해주셨다. 말하고자하는 요점을 정리해서 주제(what)를 말하고, 이걸 말하게 된 배경이나 중요성을 (why) 설명하고, 이를 어떻게(how)실천할 것인지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는 순서로 진행된다고 했다.

그리고 상대방의 좋은 말, 선한 의도를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말씀해주셨다. 사람들에게 마음의 문을 열고, 어떻게 하면 사람들과 좋은 인상을 남기며 오랫동안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배울 수 있었던 시간인 것 같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단서를 활용한 인식전환 코칭

코칭은 짧은 시간에 코칭고객의 인식 변화를 돕는 게 핵심입니다. 인식전환은 세가지 관점에서 접근하면 수월합니다. 철학에서 다루는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이 세가지 관점에서 고객이 어떻게 말을

수업소감 4

마음을 얻는 말하기, 나도 가능할까? 라는 주제가 저에게는 매우 와닿는 주제였습니다. 저는 현재 오정근교수님께서 하시는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정말 행복하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수업소감 38

대학교에 신입생으로 입학하여 처음 겪는 사회생활에 어떤 식으로 사람들과 소통해야 할지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할 때 소통방법을 배우고 싶어 이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세가지의

수업소감 28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으로서 이전부터 항상 해오던 고민이 있다. 바로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공감을 하면서 내 마음을 상대방에게 온전히 전달하여 상대방의

코칭, 피할 수 없는 매력

코치들끼리 친해지면 어떻게 해서 코칭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는지 진솔하게 얘기를 나눈다. 강의를 하다가 코칭으로 영역을 넓히거나, 전혀 색다른 동기로 입문하기도 한다. 예컨대 코칭을 배운

수업소감 22

‘표현이 적다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라고 하셨던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한 친목 모임에서 ‘말수가 적다, 대답이 느리다’ 정도의 말을 들어본 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