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그 말이 옳사옵니다’, 하는 식으로 영향력 있는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기 일쑤이고 소신껏 말하기 보다는 눈치를 보는 일이 많았다. 세종은 참여적인 분위기로 심도있게 토론하여 국정을 이끌어가고자 했으나 회의는 그렇지 못했다.

세종은 이런 분위기를 개선하여 토론을 활발하게 만들기 위해 시도한 것이 바로 경연회의였다. 왕과 신하들이 한자리 모여 고전을 읽으면서 함께 나랏 일을 토론하는 방식이었다. 회의에서 고전을 읽도록 한 이유는 책을 소재로 말문을 열기가 비교적 편했기 때문이었다. 이른바 제 3자적 관점에서 신하들이 이야기하기가 편했고, 그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자연스레 국정에 관한 문제점이나 의견을 개진하기 쉽다고 보았다. 국정을 맡은 재상들도 함께 참석했기 때문에 경연회의가 단순한 독서 토론으로만 끝나지 않고, 정책에 관한 사안까지 자연스레 주제가 되어 토론이 깊어질 수 있었다.

세종이 경연에서 채택한 첫 번째 교재는 <대학 연의> 였다. 4서3경과 같은 경서를 택하지 않은 이유는 이론을 다룬 책을 교재로 사용하면 맞고 틀리고의 논쟁으로 흐를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대학연의>는 역사 즉 스토리를 다룬 책이어서 이른바 케이스 스터디하기가 용이했다.

세종이 경연 회의를 이끌어 간 예를 살펴보면 바로 독서코칭의 방식이라 하겠다. 첫 경연에서 세종은 책을 읽으면서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과거제도는 참다운 인재를 얻고자 함인데, 선비들이 들뜨고 화려한 것만 좋아하는 버릇이 있다. 어떻게 이런 것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을까?” 이렇게 발제된 질문을 하나의 토론 주제로 삼아 이야기를 나누고 결국 ‘과거시험이 종래의 암기식에서 벗어나, 특히 종장에서 대책을 서술하도록 논술식을 강화하자’는 아이디어를 얻게 된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수동적인 공부에서 벗어나 AI를 직접 체험해보자!

안녕하세요. 저는 오정근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수동적인 공부만으로만 한계에 부딪혀왔다면, 오늘은 AI를 직접 체험해보는 새로운 경험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AI는 우리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점점 더

인식전환의 단서

“안다,의 반대말이 무엇인가요?” 이렇게 질문하면 대부분 뜸을 들인 후 “모른다, 입니다”고 대답합니다. “모른다는 것은 아는 건가요? 모르는 건가요?” 재차 질문하면 모른다는 걸 아는 거네요” 합니다.

코칭, 그 아름다운 동행

돌아가신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에 대한 일화다. 용인에 위치한 그룹 연수원은 현대그룹 가족 휴양지이기도 했다. 휴양지에는 동물원에 있을법한 커다란 조류장과 목장 등이 있었다. 45만평에 대한 총괄관리책임을 연수원장이 맡고

세상을 즐기며(낙천樂天) 살도록 돕는 코칭

‘TV 세계여행’이라는 프로그램을 보다가 감동적인 장면을 만났습니다. 서부 아프리카인 세네갈의 일명 조개섬이라고 불리는 조알 파디우트를 방문한 리포터가 섬사람에게 ‘이 섬에 사는 게 왜 좋은가요?” 하는

생의 마지막 날에 무슨 말을 남길 것인가?

가족에게는 “부족하여 미안하고, 참아주어 고맙다.”는 말을 할 것 같고, ​ “나는 육체의 옷을 벗게 되어 홀가분하다. 이제 영혼을 가꿀 수 있게 되어 너무 좋다. ​

말하지 않은 것까지 들을 줄 안다면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