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독서코칭 -오정근코치

세종 초기에 당시 어전회의 분위기는 오늘날 많은 조직과 크게 다르지 않았나 보다. 세종은 신하들이 좀처럼 입을 열지 않아 속마음 알기도 어려웠고, 누군가 의견을 개진하면 ‘그 말이 옳사옵니다’, 하는 식으로 영향력 있는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기 일쑤이고 소신껏 말하기 보다는 눈치를 보는 일이 많았다. 세종은 참여적인 분위기로 심도있게 토론하여 국정을 이끌어가고자 했으나 회의는 그렇지 못했다.

세종은 이런 분위기를 개선하여 토론을 활발하게 만들기 위해 시도한 것이 바로 경연회의였다. 왕과 신하들이 한자리 모여 고전을 읽으면서 함께 나랏 일을 토론하는 방식이었다. 회의에서 고전을 읽도록 한 이유는 책을 소재로 말문을 열기가 비교적 편했기 때문이었다. 이른바 제 3자적 관점에서 신하들이 이야기하기가 편했고, 그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자연스레 국정에 관한 문제점이나 의견을 개진하기 쉽다고 보았다. 국정을 맡은 재상들도 함께 참석했기 때문에 경연회의가 단순한 독서 토론으로만 끝나지 않고, 정책에 관한 사안까지 자연스레 주제가 되어 토론이 깊어질 수 있었다.

세종이 경연에서 채택한 첫 번째 교재는 <대학 연의> 였다. 4서3경과 같은 경서를 택하지 않은 이유는 이론을 다룬 책을 교재로 사용하면 맞고 틀리고의 논쟁으로 흐를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대학연의>는 역사 즉 스토리를 다룬 책이어서 이른바 케이스 스터디하기가 용이했다.

세종이 경연 회의를 이끌어 간 예를 살펴보면 바로 독서코칭의 방식이라 하겠다. 첫 경연에서 세종은 책을 읽으면서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과거제도는 참다운 인재를 얻고자 함인데, 선비들이 들뜨고 화려한 것만 좋아하는 버릇이 있다. 어떻게 이런 것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을까?” 이렇게 발제된 질문을 하나의 토론 주제로 삼아 이야기를 나누고 결국 ‘과거시험이 종래의 암기식에서 벗어나, 특히 종장에서 대책을 서술하도록 논술식을 강화하자’는 아이디어를 얻게 된다.

이 글을 공유하기

다른 게시글

좋은 감정에 머물도록 돕는 감정코칭

「대학」 책에 큰 공부하는 목적으로 세가지를 제시하는 데 마지막 것이 지어지선(止於至善)입니다. 무언가 배웠다면 아주 좋은 상태에 머물러야 한다는 뜻입니다. “알고 보니 나 괜찮은 사람이네, 알고

셀프코칭1]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아침에 깨어 만나는 매일매일의 오늘은 제게 기적과 같은 날입니다. 헬렌 켈러는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이라는 수필에서 ‘새벽에 일어나 밤이 낮으로 바뀌는 웅장한 기적을 보고 싶다’고

수업 소감 1

<마음을 얻는 말하기> 특강은 2022-1학기 오정근 교수님의 <자신 있게 말하기> 수업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What, Why, How의 절차에 걸쳐 말하기, 상황에

행동을 문제 삼지 않는 코칭

수업 중에 학생들에게 “행동에 잘못이 있을까 없을까?” 하며 의도된 질문을 해보면 대다수는 ‘행동에 잘못이 있다”고 대답을 합니다.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그만큼 반전을 일으키는 질문입니다. 행동에

말하지 않은 것까지 들을 줄 안다면

코칭을 하면서 고객이 스스로 인식전환을 하는 말을 하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책을 보면 시이불견하고 청이불문하다 (視而不見 聽而不聞)는 말이 있습니다. 코칭고객이 큰사람(大人)답게 상대에게서 보이지 않는 것을

원하는 것을 얻도록 돕는 코칭

이슈를 지닌 코칭고객들은 자기가 당면한 문제가 해결하려면 내가 아닌 상대방이 변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코치는 이슈 당사자를 만나고 있을 뿐이므로 코칭 장면에 없는